검색결과
  • 태종에겐 별장, 겸재에겐 화실이던 정자

    태종에겐 별장, 겸재에겐 화실이던 정자

    서울 마포구 합정동 강변북로변에 있는 ‘망원정’은 당초에 세종의 형인 효령대군이 별장(희우정)으로 지었다. 이후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이 고쳐 지으며 이름을 망원정으로 바꿨다. [사

    중앙일보

    2012.07.20 00:43

  • 영특한 사도세자, 영조의 자랑이었다

    영특한 사도세자, 영조의 자랑이었다

    1736년 영조가 사도세자를 왕세자로 책봉할 당시 반포한 글을 새긴 ‘장조 왕세자 책봉 죽책’(부분). [사진 국립고궁박물관] ‘탕평군주’ 영조의 늦둥이로 태어나 극진한 사랑을 받

    중앙일보

    2012.06.05 01:00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귀농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귀농

    이덕일역사평론가고향이나 향리로 돌아가 농사짓는 것을 귀농(歸農)이라고 한다. 퇴촌(退村) 또는 둔촌(遁村)도 같은 뜻인데, 퇴촌이나 둔촌에는 혼란스러운 세상을 피해 은거한다는 뜻이

    중앙일보

    2012.05.14 00:00

  • 사도세자에게 내린 가르침, 돌에 새긴 영조

    사도세자에게 내린 가르침, 돌에 새긴 영조

    숙종이 쓴 ‘날 비(飛)’자. 세로 25.5㎝, 가로 16.3㎝, 두께 약 7.5㎝ 대리암에 새겼다.“넓고도 굳세게 뜻을 세우고 너그러운 마음과 간편한 정책으로 백성을 통치하며,

    중앙일보

    2012.02.07 00:20

  • 정조의 아버지 묘 참배길 복원

    정조의 아버지 묘 참배길 복원

    조선 정조대왕이 사도세자 묘소를 참배하기 위해 걸었던 ‘능행차길’과 강진 유배에 오른 실학의 대가 정약용이 지나간 ‘삼남대로’가 복원된다.  경기도는 수원·화성·오산시와 공동으로

    중앙일보

    2012.01.18 00:29

  • [분수대] 권력은 시민에게서 나온다 … 로마제국 S.P.Q.R.의 의미, 김정은은 배웠을까

    [분수대] 권력은 시민에게서 나온다 … 로마제국 S.P.Q.R.의 의미, 김정은은 배웠을까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북한의 3대 세습 과정을 지켜보면서 수양대군의 계유정난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은가 보다. 김정은의 나이가 어린 데다 후계 준비가 짧았다는 데서 나오는 추론이

    중앙일보

    2011.12.27 00:00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상피제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상피제

    친족끼리 같은 부서에 근무하지 못하게 한 것이 상피법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 『이전(吏典)』에는 대공복(大功服 : 아홉달복) 이상의 상복을 입는 본종(本宗 : 성과 본이 같

    중앙일보

    2011.11.11 00:30

  •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TV 사극, 사실과 허구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TV 사극, 사실과 허구

    ‘사극 시대’입니다. 일주일 내내 안방극장에 사극이 풍성합니다. 고른 연령층에서 사랑 받고 있다는 얘기일 겁니다. 사극을 보면서 ‘과연 어디까지가 사실일까’ 궁금할 때도 많지요.

    중앙일보

    2011.09.15 00:23

  • 사도세자는 왜 뒤주에 갇혀 죽었나

    사도세자는 왜 뒤주에 갇혀 죽었나

    ‘비운의 왕자’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은 이유에 대해 여러가지 설이 있다. 재야 역사학자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은 1998년 펴낸 『사도세자의 고백』에서 사도세자는 미치

    중앙일보

    2011.06.20 00:12

  •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255) 경복궁 옆 서촌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255) 경복궁 옆 서촌

    경복궁 서쪽 마을을 일컫는 서촌(西村). 고관대작부터 중인, 아전까지 서로 다른 신분층이 모여 살던 인왕산 자락 동네입니다. 사대부 중심의 북촌, 중인 중심의 남촌과는 다른 독특

    중앙일보

    2011.03.03 00:06

  • 궁중에 걸린 글씨 중 영조 작품이 7점 최다

    궁중 편액(扁額·건물에 거는 액자. 나무·종이 등에 쓴 글자) 글씨는 크게 두 가지다. 왕이나 문인·사대부 등 당대 명필이 직접 쓴 것이 있고, 역대 명필의 글자를 집자해 만든

    중앙일보

    2011.01.13 00:22

  • 찬 바람이 불면 … 마음은 아산의 온천으로 떠나요

    찬 바람이 불면 … 마음은 아산의 온천으로 떠나요

    아산은 온천의 고장이다. 서로 특장점이 다른 3개 온천이 있다. 시 중심가 온양온천, 도고면의 도고온천, 음봉면 아산온천으로 나뉜다. 조선시대 임금님이 목욕하던 온양온천, 박 전

    중앙일보

    2010.11.12 03:14

  • [분수대] 금등지사

    [분수대] 금등지사

    금등지사(金縢之事)란 ‘오해가 없도록 고이 보관된 문서’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주나라 성왕이 숙부 주공에 대한 의심을 푸는 데 한 장의 문건이 큰 역할을 했다는 ‘서경(書經)’의

    중앙일보

    2010.11.06 00:15

  • [문화in 문화人] 아산 맹주상 시인

    [문화in 문화人] 아산 맹주상 시인

    맹주상 시인이 18일 온양온천역 광장에 세워진 자신의 시비 ‘온양에서’ 앞에서 활짝 웃었다. 그의 시는 네이버 블로그에서 감상할 수 있다. [조영회 기자]‘버들개지 피어난 골짜기마

    중앙일보

    2010.08.24 00:25

  • 임금의 죽음 예고하듯, 상복 입은 ‘하얀 벼’ 기현상

    임금의 죽음 예고하듯, 상복 입은 ‘하얀 벼’ 기현상

    정조 건릉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는데 정조와 부인 효의왕후 김씨를 합장한 무덤이다. 사도세자 묘소인 융건릉 곁에 있다. 노론 벽파는 시신을 땅에 묻자마자 정조가 키워온 남인들

    중앙선데이

    2010.08.07 23:26

  • 음지의 사도세자 양지로 … 정조의 조선 개조 시작되다

    음지의 사도세자 양지로 … 정조의 조선 개조 시작되다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는 융릉. 정조는 사도세자의 묘소를 양주 배봉산에서 이곳으로 옮기고 현륭원으로 불렀다. 고종 때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존되면서 융릉으로 높여졌다. 사도세자

    중앙선데이

    2010.07.18 01:27

  • “왕의 동생 제거하라”오빠 잃은 정순왕후 정조에 복수 칼 겨눠

    “왕의 동생 제거하라”오빠 잃은 정순왕후 정조에 복수 칼 겨눠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아무리 거창한 명분으로 포장돼 있을지라도 대부분의 정치공세는 사익(私益)이나 당익(黨益)을 실현하기 위한 소모적 정쟁에 불과하다. 이런 정

    중앙선데이

    2010.07.15 14:21

  • “왕의 동생 제거하라”오빠 잃은 정순왕후 정조에 복수 칼 겨눠

    “왕의 동생 제거하라”오빠 잃은 정순왕후 정조에 복수 칼 겨눠

    장용영( 壯勇營) 내부 평면도. 정조 23년(1799) 제작됐다. 정조는 이율·홍복영 역모 사건에 구명겸이 연루된 의혹이 드러나자 새 호위부대인 장용위(壯勇衛)를 만들고 장용영으

    중앙선데이

    2010.07.11 01:15

  • 우의정에 남인 채제공 발탁, 권력 재편 승부수

    우의정에 남인 채제공 발탁, 권력 재편 승부수

    경북 안동의 도산서원 앞 시사단(試士壇). 정조가 영남 남인들을 위해 도산서원에서 지방 별시를 실시한 것을 기념하려고 세운 비각이다. 사진가 권태균 성공한 국왕들 정조③ 남인의

    중앙선데이

    2010.06.20 01:05

  • 노론이 보낸 자객, 왕의 침실 지붕 뚫고 암살 시도

    노론이 보낸 자객, 왕의 침실 지붕 뚫고 암살 시도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상대방의 존재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세력들이 정치를 주도할 경우 정쟁은 극단으로 흐르기 마련이다. 이 경우 상대방이 집권했다는 현실을 받아

    중앙선데이

    2010.06.15 13:56

  • 노론이 보낸 자객, 왕의 침실 지붕 뚫고 암살 시도

    노론이 보낸 자객, 왕의 침실 지붕 뚫고 암살 시도

    정조는 즉위 후 아버지 사도세자를 모시는 경모당을 짓고 옥으로 만든 도장을 바쳤다. 노론에서는 정조를 압박하기 위해 이복동생들을 역모죄로 몰아 죽이라고 주장했다. 사진은 헐리기

    중앙선데이

    2010.06.12 23:40

  • 정치보복 악순환 끊고 새 시대 통합을 꾀하다

    정치보복 악순환 끊고 새 시대 통합을 꾀하다

    사도세자 사당 전남 무안군 남동리에 있는 사당이다. 마을 사람들의 꿈에 사도세자가 나타나 세웠다고 하는데 민간에서 세운 유일한 사당이다. 성공한 국왕들 정조① 사도세자의 아들17

    중앙선데이

    2010.06.06 03:30

  • 조선 왕을 말하다

    조선 왕을 말하다

    ▶ 조선 최고의 왕과 최악의 왕은 누구인가? "역사학자 이덕일, 조선 왕들의 업적을 평가하고 핵심 쟁점을 바로잡다! 역사를 살펴보면 변화를 미리 예측하고 사회를 미래지향적인 방향

    중앙일보

    2010.06.01 11:34

  • [중앙시평] 현재권력과 미래권력이 만날 때

    권력 투쟁의 역사는 인간 잔혹사와 궤를 같이한다. 스탈린의 피의 숙청사도 잔혹 무비지만 조선 왕조의 숱한 사화(士禍) 또한 그에 뒤지지 않는다. 그중 잔혹 극치가 사도세자 뒤주 살

    중앙일보

    2010.04.07 0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