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소방 시설 미비|71개 업체 입건-서울시경

    서울시경은 16일 지난 불조심 강조 기간 중 서울 시내 6천3백20개소에 대한 소방 검열을 실시한 후 소방 시설이 미비 되거나 위험물을 불법 취급하는 71개 업체를 입건하고 2개소

    중앙일보

    1970.11.17 00:00

  • 식품 제조업 시설 미비 82%

    서울 시내 대부분의 식품 제조업소들이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고 식품을 제조, 불량 식품을 만들어 내고 있음이 14일 서울시 식품 업소 시설 조사에서 밝혀졌다. 서울시가 지난 10

    중앙일보

    1970.11.14 00:00

  • (12) 차량공해

    서울의 대기오염은 주로 매연차량 때문에 빚어지고 있다. 지난 65년의 서울의 공기 속에는 아황산「개스」 (SO2)가 0·0045PPM이었고 당시의 시내 전체 차량은 1만 6천 6백

    중앙일보

    1970.08.11 00:00

  • 싸전4백41개소 등록취소등 조치

    농림부장관의 행정명령을 어겨 서울시내 등록 싸전 가운데 4백41개소가 등록취소 또는 정부 쌀 공급을 못받게됐다. 이중 등록취소 된 것이 3백25개소, 정부미 공급중단이 1백16개소

    중앙일보

    1970.06.17 00:00

  • 6개 이·미용업소 시설미비 영업정지

    서울시는 2일 시설이 미비한 6개 이·미용 및 숙박업소를 적발, 무기한 영업정지 처분했다. 이들 업소는 위생검찰결과 허가 당시의 시설을 변경했고 시 당국의 개수명령을 듣지 않았다.

    중앙일보

    1970.02.03 00:00

  • 변두리 이발관 불결

    서울시내 변두리 이발소등 환경접객업소의 종업원들의 대부분이 건강진단을받지않고있을뿐더러 옷장소독시설등을 게대로 갖추지않고 있음이 서울시에의해 적발되었다. 서울시는 10일 동대문보건소

    중앙일보

    1969.12.11 00:00

  • 매연내는 차양 「공해업소」로 간주

    보사부는 18일 지금까지 도로운송차량법(43조7항)에의해 정비명령만 내렸던 공해차량에 대해 5월부터 공해방지법에 따라 공해업소로지정, 보건당국에서 직접 시설개선명령과 운행정지명령을

    중앙일보

    1969.04.18 00:00

  • 양시열어 가격결정|값어기면 3년체형

    정부는서울·부산과 시이상의 도시에서는 양곡가격을 사실상 정부가 통제할 수 있도록 하 는 「양곡관리법개정안」을 마련했다. 이같은 조치는 이미 농림부장관이 낸 행정명령의 근거 법규를

    중앙일보

    1969.02.08 00:00

  • 28개접객업소 영업정지

    서울시는 9일 올려받던 협정요금을 환원치않고있는 28개접객업소를 적발, 3일간씩 영업정지 처분했다. 서울시는 앞서지난6일까지 올린 협정요금을 환원토록 행정명령을 내린바있으나 대부분

    중앙일보

    1968.01.09 00:00

  • 협정요금 환원에 강권|서울시

    서울시는 5일 연말 연시를 틈타 올려받고 있는 각종 협정요금을 오는 6일까지 환원토록 하라고 각 업자 대표들에게 강력히 통고했다. 서울시는 이 기한부행정명령에서 이를 이행치 않으면

    중앙일보

    1968.01.05 00:00

  • 25일자「카바레」영업정지 기사 중 야광「카바레」는 시설 개수명령을 받았을 뿐 영업정지처분을 받은바 없기에 고칩니다.

    중앙일보

    1967.11.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