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달의 예술 - 연극 ] 연극예술가의 고용과 관객의 권리

    [이달의 예술 - 연극 ] 연극예술가의 고용과 관객의 권리

    안치운 호서대학교 연극학과 교수·연극평론가 올해 연극을 비롯한 공연예술 지원정책에 관한 논의가 한창이다. 지난해와 어떻게 다른지, 정부가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지를 놓고 연극의

    중앙일보

    2018.02.10 02:09

  • [이달의 예술 - 연극] 비무장지대를 걷다

    [이달의 예술 - 연극] 비무장지대를 걷다

    안치운 호서대 교수·연극평론가 연출가 이경성과 극단 배우들은 올봄, 여름 그리고 가을에 서울에서 강원도 고성까지, ‘현실이 사라진, 인간의 자취가 없는’ 공간인 비무장지대 300

    중앙일보

    2017.12.16 01:35

  • [이달의 예술 - 연극] 알파고 세상, 무대를 되묻다

    [이달의 예술 - 연극] 알파고 세상, 무대를 되묻다

    안치운 호서대 교수 연극평론가 스핀 사이클은 바퀴를 굴리지만 앞으로 나가지 않는 자전거다. 최근 서울 대학로 여우별씨어터에서 ‘스핀 싸이클’이 공연됐다. 연출가 박재완은 지난해부

    중앙일보

    2017.10.14 01:49

  • [이달의 예술 - 연극] 서바이벌 연극이라니?

    [이달의 예술 - 연극] 서바이벌 연극이라니?

    안치운 호서대 교수·연극평론가지난 7월, 서울의 대표적 공공극장인 남산예술센터에서 ‘창조경제 공공극장 편’이란 제목으로 네 곳의 젊은 극단이 짧은 공연을 했다. 공연이 끝난 후 관

    중앙일보

    2017.08.19 02:30

  • [이달의 예술 - 연극] 베를린의 연극, 서울의 연극

    [이달의 예술 - 연극] 베를린의 연극, 서울의 연극

    안치운 호서대 교수·연극평론가 두산아트센터가 기획·제작하고 인문극장에서 공연된 이 작품은 우리 연극이 새롭게·달리·많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연극은 일상의 소소한 경험을 수집해

    중앙일보

    2017.06.24 01:59

  • [이달의 예술 - 연극] 정상과 비정상 가로지르기

    [이달의 예술 - 연극] 정상과 비정상 가로지르기

    안치운호서대 교수·연극평론가 지난 6~16일 공연된 ‘이반검열’(구성·연출 이연주, 극단 전화벨이 울린다)은 제목부터 낯설다. 2017년 남산예술센터의 시즌 프로그램 중 하나다.

    중앙일보

    2017.04.29 02:05

  • [이달의 예술 - 연극] 슬픔의 공감

    [이달의 예술 - 연극] 슬픔의 공감

    안치운호서대 교수·연극평론가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 때부터 극장은 광장·병원·신전 등과 함께 사회의 중요한 장치였다. 공감하고 토론하는 장소가 극장이었고, 이를 실천하는 것이 비극

    중앙일보

    2017.03.04 02:07

  • [이달의 예술 - 연극] 괴물 같은 시대, 연극은 어디에?

    [이달의 예술 - 연극] 괴물 같은 시대, 연극은 어디에?

    안치운호서대 교수·연극평론가2016년 한 해 한국 연극은 창조와 저항의 사이에서 통렬하게 고민했다. 구시대의 언어처럼 보였던 검열, 블랙리스트에 온몸으로 저항했던 연극인들에게 올해

    중앙일보

    2016.12.31 00:20

  • [책 속으로] 연극이 삶이고, 역사인 것을!

    [책 속으로] 연극이 삶이고, 역사인 것을!

    연극, 기억의 현상학안치운 지음, 책세상576쪽, 2만5000원연극이 퇴색했다. 실용성만이 최고의 가치로 추앙받고 있기 때문이다. 셰익스피어 희곡은 어느새 박물관에 처박힌 채 영어

    중앙일보

    2016.11.19 01:00

  • [이달의 예술 - 연극] 사라진 여성국극 바라보기

    [이달의 예술 - 연극] 사라진 여성국극 바라보기

    안치운호서대·연극평론가1950~60년대 여성국극이라는 것이 널리 있었지만, 지금은 가뭇없이 사라졌다. 판소리 창법으로 노래하는 이 연극은 여성이 남성 역할까지 도맡았다. 국극이라는

    중앙일보

    2016.11.05 00:01

  • [이달의 예술 - 연극] 인형극·가면극·마임…말과 몸의 통합

    [이달의 예술 - 연극] 인형극·가면극·마임…말과 몸의 통합

    안치운연극평론가·호서대 교수연극에 대한 정의는 역사 이래 크게 변하지 않았다. 사회 속 사람들의 갈등과 염원을 극장이라는 장소에서 맺고 푸는 것으로 줄여 말할 수 있겠다. 작게 보

    중앙일보

    2016.09.03 00:01

  • [이달의 예술 - 연극] 돌아갈 데가 없는 우리들

    [이달의 예술 - 연극] 돌아갈 데가 없는 우리들

    안치운연극평론가?호서대 교수연극의 현장인 대학로, 그 중심에는 30대가 있다. 두 개의 흐름이 뚜렷하다. 하나는 ‘권리장전’이라는 표어를 내세워 연극의 본연을 지키며, 자유로운 창

    중앙일보

    2016.07.09 00:01

  • [이달의 예술-연극] 한국 연극을 위로하는 체호프

    [이달의 예술-연극] 한국 연극을 위로하는 체호프

    안치운연극평론가·호서대 교수최근 우리 연극계에서 으뜸가는 연출가들의 공연을 잇따라 봤다. 기국서·이윤택이 올린 무대는 한결같이 서양 고전희곡으로 되돌아갔다. 기국서의 ‘리어의 역’

    중앙일보

    2016.05.14 00:01

  • [이달의 예술 - 연극] 연극과 자전거, 그 닮은꼴

    [이달의 예술 - 연극] 연극과 자전거, 그 닮은꼴

    안치운호서대 교수·연극평론가연극과 자전거를 한데 묶어 말하자면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구닥다리다. 200년 전 태어난 자전거는 말을 타고 다녔던 역사가 진보한 것이다. 처음에는 앞뒤

    중앙일보

    2016.03.19 00:01

  • [이달의 예술 - 연극] 연극은 결코 늙지 않는다

    [이달의 예술 - 연극] 연극은 결코 늙지 않는다

    안치운 호서대 교수·연극평론가지난해 가장 주목받은 극단은 ‘무브먼트 당당’이었고, 그 중심에 연출가 김민정이 있다. 그의 연극 ‘불행’은 말(언어)의 침묵으로 뜨거웠고, 순수했다.

    중앙일보

    2016.01.23 00:01

  • [알림] 더 깊고 다양하게 … 오피니언 새 필진

    [알림] 더 깊고 다양하게 … 오피니언 새 필진

     중앙일보 오피니언 페이지가 더 깊어진 통찰과 다양한 시각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중앙시평’에는 장훈 중앙대(정치학)·박명림 연세대(정치학)·허태균 고려대(심리학)·박원호 서울

    중앙일보

    2015.12.31 03:19

  • 안치운과의 5분 토크

    카메라 앞에서 어색해하던 안치운은 “사진 찍기를 싫어해서 웬만하면 책에도 사진을 넣지 않는데”라고 말했다. 중앙대학교 연극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정부 장학생으로 연극협회에 들어간 그

    중앙선데이

    2008.02.03 01:45

  • 이 길 끝나는 곳에 한국 연극의 희망이…안치운

    이 길 끝나는 곳에 한국 연극의 희망이…안치운

    관련기사 안치운과의 5분 토크 자신의 글은 피로 쓰여졌다고, 글이란 모름지기 피로 써야만 한다고 니체는 말했다. 비록 나는 흡혈귀가 아니지만, 진정 피로 쓴 책들을 좋아한다. 그

    중앙선데이

    2008.02.03 01:44

  • Archi- tecture Book Movie& Tv Art

    Archi- tecture Book Movie& Tv Art

    오페라 갈라 콘서트‘조수미와 위너스’ 31일(월) 고양 아람누리 아람극장 2008년 1월 3일(목), 세종문화회관 오후 7시30분, 문의: 02-3461-0976연말연시를 맞아

    중앙선데이

    2007.12.22 18:20

  • [책동네] 교보문고 인천점 문 열어 外

    *** 교보문고 인천점 문 열어 교보문고(대표 권경현)는 지난 16일 인천시 구월동 중앙공원길 이토타워 지하 1층에 교보문고 인천점을 열었다. 총면적 1000여평인 인천점은 대전과

    중앙일보

    2004.07.17 09:39

  • [문학 신간] 노래의 날개 外

    [문학 신간] 노래의 날개 外

    ◇ 노래의 날개(이윤기 지음, 민음사, 8천5백원)='언어의 고수'라는 수식어가 따라붙는 작가 이윤기의 소설집. 요절 시인 박정만의 삶을 그린 '전설과 진실'을 비롯해 창자가 끊

    중앙일보

    2003.10.17 17:12

  • [공연 단신] 문예진흥원 外

    ○…문예진흥원이 17일부터 11월 19일까지 매주 수요일에 '수요일의 연극 이야기' 제2기 강좌를 개설한다. 이번 강좌에서는 연극평론가 안치운 교수가 '삶 속의 연극, 연극 속의

    중앙일보

    2003.09.02 17:14

  • 한국문학예술학교 온라인 강좌 개강

    인터넷 신문 프레시안이 운영하는 사이버 강좌'한국문학예술학교'(http://www.arspedia.com 교장 김정환)가 이달부터 신학기 강의를 시작했다. 강의는 교사들이 인터넷상

    중앙일보

    2002.01.05 14:40

  • 걸으면 알게 되고 알게 되면 사랑하게 되나니

    ‘부산 지역 해수욕장에 1백 만 인파 운집’, ‘휴가철 본격 시작, 고속도로 정체’, ‘동해―남부 피서지 초만원’. 해마다 이 맘 때쯤이면 신문 사회면 톱을 장식하는 헤드라인들이다

    중앙일보

    2001.08.03 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