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해외과학|「수소연료 여객기」나온다

    1903년12윌17일 「라이트」형제가 비행기를 만들어낸 이래 78년간 항공기는 마하(음속) 3.3, 좌석 5백석까지 발전해왔다. 그러나 항공관계의 학자들은 앞으로 항공기는 더욱 발

    중앙일보

    1981.11.18 00:00

  • 실망한 우주인 의무실 직행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기술상의 이유로 미우주왕복선 콜럼비아호의 발사가 약1주일간 연기되자 가장 허탈감에 빠진 사람은 누구보다도 선장「조·엥글」대령과 부조종사「리처드·트룰리」대

    중앙일보

    1981.11.05 00:00

  • 미 콜럼비아호 내일하오 발사

    【케이프카내베랄(미플로리다주) 2일UPI=연합】 4일상오 7시30분(한국시간 하오9시30분·이하같음) 제2차우주왕복비행에 나서는 콜럼비아호의 발사를 앞둔 카운트다운이 순조롭게 진행

    중앙일보

    1981.11.03 00:00

  • LPG란 어떤 것인가-4광구 매장설 계기로 알아본다

    우리나라 제4광구에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69년4월부터 77년3월까지 미국의 컬프사가 4광구에서 물리탐사를 할때 함께 참여했던 미국의 자펙

    중앙일보

    1981.07.20 00:00

  • 두우주인 무비카메라 휴대|발사때쏜 연료비 50만달러

    「존·영」과「로버트·크리픈」두 우주비행사는 우주 왕복선「콜럼비아」호안에서 맛있는「스칸디나비아」식 전채요리인 「스모르가스보아르드」로 우주식사를 즐겼다. 두 우주인은 또 일반인들이

    중앙일보

    1981.04.14 00:00

  • 우주이용 시대의 새장을 여는 콜럼비아호

    여러 차례 인간을 달에 올려놓았던 미국이 이번 「콜럼비아」호의 발사성공으로 들떠있다. 아직까지의 우주선이 외계를 탐색하는 것이었다면 「콜럼비아」호는 「우주이용시대」의 새장을 연 것

    중앙일보

    1981.04.14 00:00

  • DC-9제트기만한 무게2천2백27t|첫 시험비행에 우주인을 바로 태워 보내

    유인우주왕복선 「콜럼비아」호는 우주항공개척사에서 여러 가지 신기록을 세웠다. ▲최대의 우주선-발사대의 무게가 2천2백27t에다 높이가 56m인 이 우주선은 DC-9 제트여객기만큼

    중앙일보

    1981.04.13 00:00

  • LPG폭발

    서울 서부지역의 주민들은 16일 새벽의 폭음에 놀라지 않은 사람이 없었을 것이다. 직경3m, 길이 8m LPG「탱크」가 폭발, 그 불길이 40m까지 치솟아 불야성을 이루었다. 그러

    중앙일보

    1974.11.16 00:00

  • 물·광선으로 수소를 생산|일 두 교수 무공해 연료 발견

    【동경 1일 AP 합동】2명의 일본 과학자는 태양광선과 물을 원료로 하여 미래를 위한 꿈의 무공해 연료인 수소를 무제한 생산하는 혁명적인 제조 과정을 발견했다고 1일 발표했다. 동

    중앙일보

    1974.01.04 00:00

  • 중동전의 「이」우세 신화 깬 아랍 측 비장의 무기들

    제4차 중동전쟁이 발발하자 대부분의 군사전문가들은 이번에도 과거의 전쟁과 같이 「이스라엘」쪽에 승산이 있으리라고 예상했지만 그 예상은 크게 빗나갔다. 「이스라엘」의 군사력 우위

    중앙일보

    1973.10.18 00:00

  • 배낭 속의 화마|알콜 버너를 추방하자|등산객을 위한 그 위험예방 안내

    가을은「하이킹」의 계절. 제 철을 만난「하이 커」들은 산과 들을 찾아 나선다. 야외에서의 한끼의 식사는 꿀맛처럼 달다. 이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 취사용「버너」. 그러나 행 락 인구

    중앙일보

    1973.09.12 00:00

  • 곧 닥쳐올 「에너지」복합시대

    태양열·지열·해양력·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에너지」 복합시대가 곧 올 것 같다. 세계적으로 팽배해진 「에너지」 위기감을 해소하려는 선진 각 국의 노력이 더욱 박차를 가하

    중앙일보

    1973.04.19 00:00

  • 38만km에 시차없다

    운석의 타격이야 받았겠지만 비 바람에는시달리지 않았기에 45억년전 탄생때의 모습이 남아 있을것이라는 달 표면 처녀지를 밟기위해 우주비행사들이 드디어 16일밤(한국시간) 세기의 장도

    중앙일보

    1969.07.16 00:00

  • 미 아폴로 우주선 화재 원인을 추리하면

    미국 「아폴로」 우주선 화재 사건은 아직도 그 원인이 분명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만전에 만전을 다하는 보호조치를 취하고도 불상사를 일으킨 사고의 진짜 원인은 뒤에 정확한 조사로

    중앙일보

    1967.01.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