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미래자원개발의 기반 다진다 |세종과학기지 남극진출 2돌…중간점검

    지구상에서 다섯 번째로 큰 백색의 제7대륙 남극에 한국의 세종과학기지가 준공된 것은 지난 88년2월17일. 한국팀의 남극진출 2년을 중간 점검해 본다. 세종기지가 위치한 곳은 남미

    중앙일보

    1990.02.03 00:00

  • 남극과학기지 방문

    ◇박병권 해양연구소장은 우리나라 남극 상주 과학기지인 세종기지의 운영실태를 둘러보고 인접 기지국가들과의 협력 증진차 13일 출국.

    중앙일보

    1990.01.13 00:00

  • 쇼·오락

    중앙일보

    1990.01.04 00:00

  • 과학기술 20대 뉴스

    1. 특정연구개발사업 착수 (82) 2. 「첨단기술개발 기본계획」 수립 (89. 8) 3. 「기초 과학연구 진흥의 원년」 선언 (89. 1) 및 우수기초연구센터 지정, 육성(89.

    중앙일보

    1989.12.09 00:00

  • 「숨겨진 보고」남극개발 문"활짝"

    우리 나라는 9일 남극지역(남위60도 이남)에 관한 모든 문제에 독점적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남극조약 협의당사국의 지위를 드디어 획득했다. 남극조약 협의 당사국은 지난 61년 발

    중앙일보

    1989.10.11 00:00

  • 귀국한 남극 기지 연구대장 장순근 박사

    『남극에 대한 국제공동 개발에 참여하려면 남극조약 협의 당사국이 돼야 하는데 이를 의해 남극자원 개발을 적극적으로 벌여 극지 과학기술 경험을 축적해야 합니다. 또 이미 진출한 외국

    중앙일보

    1989.02.21 00:00

  • 남극 열강이 탐내는 "자원보고"-

    남극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곁으로는 순수한 과학연구를 내세우고 있지만 한풀 벗겨보면 세력확장의 냄새가 짙게 풍긴다. 최근 UN총회만 열리면 제3세계 국가들은 선진국의 남극독

    중앙일보

    1988.02.29 00:00

  • 남극 과학기지 준공|킹조지섬서 현판식

    【남극 킹조지섬=장재열 특파원】우리나라 최초의 해외상주기지가 될 남극과학기지(정식명 세종과학기지)의 역사적인 준공현판식이 17일 상오10시(현지시간)남극 킹조지섬 바톤반도 현지에서

    중앙일보

    1988.02.17 00:00

  • 17일 킹조지 섬에서 「세종기지」현판식|칠레·소련·중공 등 7개국 기지장 참석-장재열 특파원

    남극 킹조지섬에 건설중인 대한민국 남극과학기지 현판식이 17일 오전4시(한국시간)박긍식 과학기술처장관, 이룡훈 주 칠레대사, 허형택 해양연구소장, 칠레·소련·아르헨티나·브라질·중국

    중앙일보

    1988.02.16 00:00

  • 남극기지 현판식 참석

    박긍식 과기처 장관은 9일 상오 남극 세종 과학기지의 현판식과 칠레와의 과학기술협력 회담을 위해 출국.

    중앙일보

    1988.02.10 00:00

  • 올해를 밝히 "연구실의 등불"|과학기술인 6명의 업적을 소개한다.

    87년 한해는 정치가 점철한 한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치 때문에 그 이외의 것은 모든 것이 정체된것처럼 보였지만 사실은 그렇지가 않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기분야에서

    중앙일보

    1987.12.30 00:00

  • (4)구미-2월15일0시…34번째 신생시가 탄생한다

    「구미시」-경북에 6번째 시가 탄생한다. 우리나라의 34번째 시. 전자·섬유산업을 주축으로한 국내 최대의 내륙공업단지가 도약을 향해 시로 승격되는 것. 공단세의 중심인 경북 선산군

    중앙일보

    1978.02.10 00:00

  • 「조력자원개발」간담회

    「오일·쇼크」이후 각광을 받고있는 조력자원개발에 관한 간담회가 3일 이종찬 전 「코리어·엔지니어링」사장과 홍성수 조력자원개발연구소 연구원의 주최로 세종「호텔」에서 열렸다. 이날 간

    중앙일보

    1976.03.04 00:00

  • (4) 번역사업

    문화발전의 문제에 관련해서 우리는 문화수용과 문화보존 문화전파의 세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외국의 자료·문헌이나 선인들이 남긴 고전을 국역하는 일과 우리의 정신적 업적을 외국어에

    중앙일보

    1970.12.14 00:00

  • (36) 우리의 미래상을 탐구하는 「캠페인」|「커뮤니케이션」과 언어의 의미 - 대표집필 정인섭

    「그리하야」보다 「그래서」 요즘 학교의 학습 과정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의 위치가 중요시되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사회 발전의 수단으로서 또는 각 개인의 사회적 지식 수준의 향

    중앙일보

    1967.09.07 00:00

  • (11)이조중엽∼말엽 인물 중심|유홍렬

    정상기는 실학의 대가이던 이익의 가장 가까운 벗으로서 70 평생에 한 번도 벼슬을 살지 않고, 숨어서 이용후생의 온갖 학문을 닦던 끝에 우리 나라에 있어서 가장 정확한 지도인 「

    중앙일보

    1966.05.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