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국 군대 위협인가? 속빈 깡통인가?

    중국 군대 위협인가? 속빈 깡통인가?

    중국은 분명 ‘군사 강국’(‘强軍夢’)을 추구하고 있다. 지난 수 년간 중국군의 전력 증강에 대해서는 국내외에서 많은 분석이 이루어졌다. 중국군의 전력증강 가운데 문제가 되는 것은

    중앙일보

    2017.02.27 10:48

  • [분수대] 쿠바, 이민호, 애니깽

    [분수대] 쿠바, 이민호, 애니깽

    박정호문화전문기자·논설위원요즘 중국에서 ‘송중기 앓이’가 극심하다지만 쿠바에선 ‘이민호 열풍’이 대단하다. 지난주 쿠바에 다녀온 한 문화기획자의 전언이다. 송중기가 ‘태양의 후예’

    중앙일보

    2016.04.07 00:38

  • [분수대] 공룡을 부탁해 !

    [분수대] 공룡을 부탁해 !

    박정호문화전문기자·논설위원“무슨 초식공룡이 닭을 키워?” 영화를 보고 나온 아들이 트집을 잡았다. 맞는 지적이다. 그런데 영화는 영화다. 6500만 년 전 우주에서 날아온 대형 운

    중앙일보

    2016.01.14 00:57

  • 켜켜이 쌓인 얼음 사이로 시간을 보고 시간을 담았지요

    켜켜이 쌓인 얼음 사이로 시간을 보고 시간을 담았지요

    Blue Lagoon(2014), Chromogenic Print, 186x310cm 사진작가 한성필(43)은 파사드 프로젝트(Facade Project)로 잘 알려진 작가다.

    중앙선데이

    2015.01.10 00:48

  • 한국이 심은 1억 그루, 인도네시아 관료들 ‘성지 순례’

    한국이 심은 1억 그루, 인도네시아 관료들 ‘성지 순례’

    코린도그룹이 칼리만탄주(州) 중부의 팡칼란분에 조성한 조림지. 서울의 약 1.5배 되는 땅 위에 하나하나 나무를 심었다. 조림지 한복판에 있는 산불감시용 전망대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중앙일보

    2011.12.01 01:02

  • 복제화展 '거장의 숨결' 발상 좋지만 원작의 숨결은 어디로

    디지털 복제화라는 아이디어 자체는 근사해 보이나 질은 현저하게 떨어지는 대형 전시. 서울 광화문 한복판에서 한달새 유료관객 1만2천명을 동원한 '거장의 숨결전'(3월 1일까지 세종

    중앙일보

    2004.02.12 17:58

  • [오윤 사후판화]서울지법 원고승소 판결

    오리지널 판화의 범위를 놓고 논란을 일으키며 법정 소송까지 이어졌던 오윤 사후판화 (Posthumous Edition) 파동이 1년6개월여만에 일단락됐다. 서울지법 민사합의 25부

    중앙일보

    1998.04.28 00:00

  • 피카소 걸작 "게르니카" 일본서 사진 복사본 전시

    『게르니카』가 일본 순방에 나섰다. 20세기 미술품중 최고걸작으로 불리는 피카소의 대작 『게르니카』(스페인 레이나소피아 아트센터소장)가 세계 최초로 실물크기의 사진작품으로 복사돼

    중앙일보

    1995.10.09 00:00

  • 전시

    ◇로버트 라우센버그 판화전〓6월9일까지 표화랑 (547)7337. 미국 팝아트 대표작가의 콜라주를 이용한 현대판화 ◇마이클 맥밀런 조각전〓6월1∼17일 국제화랑 (735)8449.

    중앙일보

    1990.05.31 00:00

  • 외로운 창작20년…판화대중화 앞장|서양화가 김태호씨

    바야흐로 판화바람이 분다.「판화가 무슨 예술작품이냐」고 가볍게 여기던 애호가들의 생각이 바로잡히고 있다. 이제 미술애호가의 가정이면 판화한점 걸리지 않은 집이 없고, 호텔 객실벽에

    중앙일보

    1986.04.30 00:00

  • 무구정광대타라니경등 3백여점한국고인쇄문화전, 영·독서 열려

    한-영, 한-독수교 1 백주내년을 기념하는 한국고인쇄문화전이 독일·영국양국에서 열린다. 문공부는 우리조상들의 뛰어난 슬기를 해외에 널리 알리고자 19세기 이전의 우리 고인쇄문화를

    중앙일보

    1983.11.19 00:00

  • 중국회화 복제화전 서울중국 예랑서

    중국회학 복제화전이 8일∼31일 서울 인사동 중국 예랑에서 열리고 있다. 자유중국의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돼있는 제백석 오창석 예찬 동기창 문징명 등의 작품을 복제한 50여점이 전시

    중앙일보

    1980.03.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