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치사한 공방 이제 그만

    많이 들 읽는 『삼국지』를 보면 「절영지회」(갓끈을 끊고 노는 잔치)라는 고사가 나온다. 『초나라 장왕이 어느 날 장수들을 모아 잔치를 베풀었다. 장수들 틈에는 장왕의 애희를 비롯

    중앙일보

    1988.12.24 00:00

  • (12)밥상만 받아도 젓가락으로 "풍장"|이리농악 김병순

    농악이란 말은 일제 이후 50년 남짓 사용돼온 용어다. 옛 문헌에는 농악이란 낱말이 없다. 오히려 순수한 우리말로「풍장친다」「굿친다」「매구친다」「두레논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풍장

    중앙일보

    1988.06.21 00:00

  • 생일파티

    얼마전에 우리집 막내의 생일이라해서 케이크 한통을 사들고 일찍 퇴근했다. 늘상 하던대로 케이크위에 몇개의 양초를 꽂고 『생일축하합니다. (해피버드데이투유)』하며 생일날이면으례 부르

    중앙일보

    1986.05.26 00:00

  • (1)물려받은 「바다의 멋」…"발동선 탐안나요"| 작가 한림화씨, 제주「뗏목어부」한계생옹을 만나다

    문화는 여름을 타지 않는다. 비록 전시·공연 예술이 소강상태에 접어들었으나 뒷전에선 개인은 창작·연구활동이 왕성하다. 여름속의 정중동-. 기행에서 서제에 이르기까지 이 여름에 펼쳐

    중앙일보

    1985.07.22 00:00

  • (8)젊은세대가치관-이대로 좋은가?

    인류의 문명은 인간이 유목민의 생활을 벗어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20세기말의 첨단을 걷는 물질문화와 과학문명의 풍요속에서 인간은 다시 유목민으로 돌아가고 있다. 우리들은 이제

    중앙일보

    1984.08.08 00:00

  • 1가구가 지키는 고독한 유인도

    전남 진도에서 5km쯤 떨어진 바다한가운데 외롭게 떠있는 섬 같은섬 광대도. 섬주민이라곤 할아버지, 할머니, 손자, 총각선생님등 단4명에 개2마리와 한쌍의 흑염소가 전부. 그래서

    중앙일보

    1983.04.23 00:00

  • 나의 건강비법

    새벽 5시30분 먼동이 틀 무렵이면 운동복차림에 허름한 모자를 눌러 쓴 할아버지가 집을 나선다. 집에서 1km거리에 있는 백봉산으로 향하는 것이다. 올해 78세되는 이달식 할아버지

    중앙일보

    1982.08.14 00:00

  • 정든 강아지를 팔면서 못내 아쉬운 듯…|노인 용돈마련 시장…윷·연 등도 내놓아

    애지중지하던 물건들을 옷섶 여기저기서 하나 둘씩 조심스럽게 꺼낼 때 어루만지고 또 어루만지면서 차마 아쉬운 듯 가슴에서 미처 풀어버리지 못하는 애착으로 소매부리로 눈물을 훔치는 할

    중앙일보

    1982.05.31 00:00

  • 중앙일보가 펼치는 「겨레시」짓기 운동

    윤연옥 책자빚 하늘 향해 갈 벌레 피리 불면면 살의 가락마다 푸른 물이 넘쳐 나고 눈 시린 고추잠자리 사립문을 맴돈다. 최영규 한뼘 들녘에 억새풀 이끼 푸른 저 하늘 살갗이 흘린

    중앙일보

    1981.09.05 00:00

  • (6)단란한 가정

    명랑한 성격과 애교넘친 얼굴, 착한 남편과 귀여운 자녀를 보살피며 끊임없는「유머」와 「위트」로 집안에 웃음꽃을 피우는 여주인공「블론디」. 박봉의「샐러티맨」이면서도 오직 가정을 아끼

    중앙일보

    1976.01.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