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김총리의 국정보고

    정부는 대통령이 주창한 선진조국의 창조를 국정의 기본목표로 잡고 자유와 번영, 성장과 복지`평화와 통일을 실현하려는 새 역사의 길로 힘찬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그러나 우리를 둘러

    중앙일보

    1983.04.12 00:00

  • 모노크로널(단선항체) 암정복의 새 기수로

    한국도 유전공학 분야의 하나인 모노크로널(단선)항체에서 결실을 얻어가고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효소공학연구실의 정태화박사팀은 최근 세포융합방법으로 임신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중앙일보

    1983.03.05 00:00

  • 과기처·체신부 새해 주요업무보고내용

    국책연구개발과제 ▲반도체·컴퓨터=개인용 소형컴퓨터·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TR용 집적회로·휴대용 자동번역기 ▲정밀화학·고분자=무공해도열병농약합성·인화알루미늄살충제·수도용살충제·탄

    중앙일보

    1983.02.11 00:00

  • 반도체 등 9개 정밀기술 집중육성

    과기처와 체신부는 10일 상오와 10일 하오에 걸쳐 전두환 대통령에게 새해 주요업무계획을 보고했다. 반도체·컴퓨터·정밀화학 등 9개 분야의 핵심거점기술을 노출하여 올해 기업부담을

    중앙일보

    1983.02.11 00:00

  • 국내의 수소에너지 연구

    국내의 수소에너지연구는 비록 소규모지만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가장 연구가 활발한 곳은 과학기술원(KAIST)의 이재영교수(재료공학과), 윤경석박사(화학공학)팀이다. 이교수팀은 금

    중앙일보

    1983.02.03 00:00

  • 국내의 생명공학

    유전공학은 지난76년에야 새로 시작됐기 때문에 첨단기술중 우리와는 시간적으로 가장 격차가 적은 분야다. 국내에서도 꾸준한 연구를 통해 그사이 몇건의 성과를 올렸다. 작년 11월 제

    중앙일보

    1983.01.07 00:00

  • 통폐합합병으로 연구활동 저조|계획만 풍성, 방향정립에 고심|묵은연구경정·용역사업 치중|대아시안 협력·핵연료 국산화등은 성과 거둬|민간연구소 늘고 기업선 생명과학에 관심보여

    과학계 81년은 연구소 통·폐합의 후유증과 불황속에서 가까스로 과학기술부문 5개년계획·특정연구과제선정 정도를 마무리지은 한해로 평가할수 있다. 국가연구부문은 이렇다할 연구결과없이

    중앙일보

    1981.12.28 00:00

  • 국회 상임위 질문·답변-요지

    ◇1일 ▲고재청 의원 (신민)=동명목재 사장 부인이 67년 부산에서 2천만원을 주고 구입한 땅이 현재 싯가 30억원 이상이 되었는데 이에 대한 세금 부과액은 얼마인가. ▲김용환 재

    중앙일보

    1977.11.02 00:00

  • 설립10주년 맞는 한국과학기술연구소-연구계약 천2백 건에 백19억원

    「과학기술과 공업경제에 관한 시험·연구·조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그 성과를 보급함으로써 산업기술개발에 기여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출범한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가 오는10일

    중앙일보

    1976.02.05 00:00

  • 읽는 법

    유명한 「아르키메데스」보고 당시의 왕이 기하를 빨리 배울 수 있는 길이 있느냐고 물었다. 그에 대해서 「아르키메데스」는 『기하에 왕도는 없습니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즉 기하를

    중앙일보

    1972.01.01 00:00

  • 「절대온도」0도에의 도전|「저온과학기술」의 오늘

    섭씨 영하 273.155도. 열역학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최저온도다. 이 온도를 절대온도 영도라고 부른다. 이 절대온도 영도부근에서는 「헬륨」의 성질에서 이상한 현상이 나타나고 어

    중앙일보

    1967.12.02 00:00

  • 한국과학기술연구소 발족 10개월의 명암

    한·미 두나라 대통령의 합의에 의해 지난 2월 발족된 한국과학기술연구소는 아주 맑은 전망 속에 한해를 보냈다. 특히 재미과학자의 귀국을 권유하기 위해 도미했던 최형섭 소장은 95%

    중앙일보

    1966.12.22 00:00

  • 새로운 발전방법

    열기관의 발명은 인류에게 오늘날의 문명을 가져다주었다. 전세계의 「엑너지」 수요량은 현재 년30조 「킬로와트」 정도나 되는데 이것은 2천년께 가서는 10배이상으로 증가될것이라한다.

    중앙일보

    1966.11.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