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7)사업별로 본 새해예산

    18억6천5백만원을 들여 전국 8만3천9백 정보의 산에 각종 나무 약 4억 그루를 심고 이미 심어 놓은 나무를 관리하기 위해 4억8천1백만원(구만 정보분)을 투입한다. 따라서 올

    중앙일보

    1973.01.06 00:00

  • (9)제주도 「파이내플」

    「파이내플」. 제주도는 겨울이 온 것 같지 앉다. 향긋한 풍취로 열대를 느끼게 하는 남국의 열매가 제주도에 푸짐하다. 제주에 「파이내플」이 처음 재배된 것은 지난 64년. 서귀농업

    중앙일보

    1972.11.17 00:00

  • 표준수종 21개 선정

    정부는 산지개발 법 제정을 계기로 조림을 범국민운동으로 전개하기 위해 우리 나라 토질에 맞는 21개 수종을 표준수종으로 선정, 고시하는 한편 묘목 부족을 해결키 위해 양 묘 체계도

    중앙일보

    1972.07.11 00:00

  • 그린·비즈니스 붐…일 대기업들

    『푸르름(록)을 팝니다.』 자연으로의 복귀에 발맞추어 일본의 대기업들은 그린·비즈니스에 착수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삼정물산은 백화점 체인을 구성하고 있는 삼월과 제휴하여 묘목을

    중앙일보

    1972.05.04 00:00

  • 수익성 높은 호도나무

    우리 나라의 대표적 유실수로서는 밤나무와 호도나무가 손꼽히고 있다. 이 가운데 호도나무의 수익성은 최근 조기·다수확성 신품종이 개발, 보급되어 새로운 투자대상으로 각광을 받고있다.

    중앙일보

    1972.04.13 00:00

  • (292)우리 나라 화초육종의 현황과 문제

    현재의 재배화초는 모두가 토산종을 개량한 것이다. 처음에 관상을 위해서 품종이 개량됐고 부분적으로 향료의 목적으로 개량되었는데 오늘날 화훼의 품종은 3만종에 육박한다. 장미는 월동

    중앙일보

    1971.05.15 00:00

  • 멸종위기의 양주밤 보호

    흑벌(밤나무해총)피해로 멸종위기에 있던 명산「양주밤」이 되살아 나게 되었다. 10일 연세대이사회는 내년부터 1천5백여만원을 들여 양주군 와부면 도곡리 연세대재단소유 임야에 우리나라

    중앙일보

    1968.12.12 00:00

  • ⑨사과따기 막바지에|시세소식에 울고 웃고

    갑자기 온몸에 젖어드는 진한 능금냄새에 눈을 떴을 때 영천행 완행 「버스」는 하양땅에 들어서고 있었다. 경북경산군 하양면은 「대구사과」로 알려진 능금의 명산지-. 국도연변을 따라

    중앙일보

    1968.10.26 00:00

  • 제3의 농업혁명

    【뮌스터=문인동】제3의 농업혁명이란 「플라스틱·포닉」시대를 가져온 합성수지로서의 토질개량은 중근동, 「아시아」 및 「아프리카」의 황무지와 사막지대를 새로운 경작지로 만들고 있다.

    중앙일보

    1968.03.07 00:00

  • (116)-희망의 계단

    삼다라, 탐나는 채색도 곱다. 조는 듯 잠잠한 한라는 이마에 흰빛, 털솜같은 흰눈을 이고,산허리를 내려가며 완만한 푸른색 치마를 섬끝까지 펼친다. 사이사이 으름 (측화산) 은 모두

    중앙일보

    1968.02.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