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분수대] 새해가 오면

    2001년, 21세기의 첫날이다. 아서 클라크의 소설을 스탠리 큐브릭 감독이 영화화한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원시인의 몽둥이가 하늘로 날아올라

    중앙일보

    2001.01.01 00:00

  • 이탈리아 과학기술 현황-기초.응용분야 강해

    이탈리아는 과학기술분야에서도 만만찮은 경쟁력을 갖고 있다. 특히 물리.화학.의학등 기초 분야와 섬유기계.염색.공장자동화.생물공학.통신.우주항공 응용 분야에서 강점을 갖고 있는 것으

    중앙일보

    1996.06.02 00:00

  • 신앙-과학 양립 수용|교황청 학술원

    『카톨릭 교회와 과학간의 상호 이해 부족으로 인한 비극적인 일이 되풀이 돼서는 안 된다. 과학과 성서라는 두 범주는 별개의 것이지만 조화를 이루며 양립하는 것이다.』 요한 바오로

    중앙일보

    1993.06.29 00:00

  • 노벨상 수상자 11명|「서울 선언문」 채택

    지난 10월29일∼11월3일 국내에서 열린 「노벨상 수상자 서울 심포지엄」에 참가한 리타 레비 몬탈치니 박사 (80·여·86년 의학·생리학상 수상·이탈리아) 등 노벨상 수상자 11

    중앙일보

    1989.11.04 00:00

  • "과학의 악용 여부는 사회 전체 책임"|노벨상 수상자들 학생과의 대화

    과학 기술자는 자신의 연구 결과에 얼마나 책임을 져야하는가. 또 미래의 과학은 어떤 모습을 할 것인가. 포항 공과 대학 대강당에서1∼2일 역대 노벨상 수상자 8명과 중·고·대학생

    중앙일보

    1989.11.03 00:00

  • 노벨상 수상자 초청

    ◇이상회 과기처장관은 2일 저녁 서울심포지엄에 참가중인 B 조셉슨박사(영·물리학), H 브라운박사(미·화학), R 몬탈치니박사(이·의학) 등 노벨상 수상자 10명을 롯데호텔로 초청

    중앙일보

    1989.11.03 00:00

  • 미「코언」·「몬탈치니」교수 노벨 의학상 수상

    【스톡홀름AP·로이터=연합】미 밴더빌트 의과대학의 생화학자「스탠리·코언」교수(63)와 이탈리아 태생의 미국인 발육생물학자「리타·레비·몬탈치니」박사(77·여)가 13일 금년도 노벨

    중앙일보

    1986.10.14 00:00

  • 세포·조직의 성장인자 발견

    올해 노벨 의학상을 수상한「스탠리·코언」박사와「리타·레비·몬탈치니」박사의 업적은 세포와 조직의 성장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밝혀 낸 것. 이들의 섬유 아 세포 성장인자와 신경세포 성

    중앙일보

    1986.10.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