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고교입시 이대로 좋은가-쉬운 문제가 던진 난 문제

    중학교무시험진학제 실시이래 처음 실시된 고교입시가 모두 끝나 지원·시험·합격자 발표 등 시행과정을 통해 여러가지 문제점이 드러났다. 문교부는 교육계·학계인사 및 실무자 등 15명으

    중앙일보

    1972.02.12 00:00

  • 미 미시건 대학총장「워튼」박사 강연에서|개발도상국가 대학의 사명

    미국「미시건」주립대 총장「클리프트·워튼」박사는 10일하오 연세대에서「발전지식과 전달체제」란 제목으로 「아시아」7개국순방강연의 첫「테이프」를 끊었다. 「시카고」대학에서 경제학으로 박

    중앙일보

    1971.12.13 00:00

  • 김 내각의 새 얼굴들|신임 각료 소감과 프로필

    신임장관들은 4일 다음과 같이 취임 소감을 말했다.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맞춰 신축성 있는 외교 정책을 펴 나갈 것이며 특히 통일 기반 조성을 위한 외교 활동을 강화하겠다. 무거운

    중앙일보

    1971.06.04 00:00

  • 선거공약의 허실 분석|이달의 종합지|윤근식

    4월27일은 경험주의적 입장으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는 원리 즉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국민 주권설을 또 다시「테스트」해보는 날, 제7대 대통령 선거의 날이다. 지금

    중앙일보

    1971.04.14 00:00

  • 철강산업 오늘과내일

    IBRD평가보고서는 포항의 종합제철공장이 원칙적으로 공업화계획에 적합하다했다. 그러나 이보고서는 이공장이 경제적으로 건전한 산업을 확립할수있는가에 대해 좀더 검토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중앙일보

    1968.11.09 00:00

  • 현실에 발붙인 「설계」들|이대졸업반 「앙케트」

    여자대학을 졸업하는 한국의 젊은 지성들은 무엇을 생각하고 간절히 원하며 그들은 대학 안팎의 생활을 어떻게 평가하고 설계하는 것일까. 이화여대 생활지도부에서는 동교 67년도 졸업생

    중앙일보

    1966.12.01 00:00

  • (3) 거의 무시험|

    미국은 중학과정부터 대학입학까지 우리나라나 일본에서 보는 바와 같은 입학시험은 없다. 과학적으로 분석, 평가된 학생개개인의 적성과 능력검사결과를 교장 추천서등 각종 내신 서류의 이

    중앙일보

    1966.07.12 00:00

  • <소강안정 물결 타고 병년 경제호의 향방(장 경제기획원장관과 홍성국 서울 상대 교수)-희망대담

    「현실화 정책에의 백의종군」을 자칭해온 장 경제기획원장관과의 대담. 금리·외환·물가 등에 걸친 모든 경제정책의 통수로 진두지휘에 나선 그는 을사의 현실화를 반성하고 병오 경제의 진

    중앙일보

    1966.01.05 00:00

  • (끝) 앞날은 과히 어둡지 않다.

    ◇기술계 실태 경제기획원이 실시한 제 2차 과학 기술계 인적자원 조사에 의하면 63년 말 현재 우리 나라의 기술계 인적자원은 총 21만1천3백3명. 이 가운데 이공계 대학을 졸업하

    중앙일보

    1965.09.27 00:00

  • 「경제자립에의 도정」어디까지 왔나?

    아무리 가기 싫다해도 가야하는 길. 갈 수 없대서 중단하면 모든 것이 끝을 알리는「경제 자립의 길」이다. 이 길을 닦지 않는 한 정치적 독립이 완전할 수 없고 이 길이 황폐해 있으

    중앙일보

    1965.09.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