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제4회 아동 문학상 이준연씨 수상 결정

    한국 아동문학가 협회(회장 이원수)는 금년도 제4회 한국 아동 문학상 수상자로 이준연씨(40·사진)를 선정했다. 수상작품은 76,77년에 걸쳐「소년 한국일보」에 연재됐던 단편 유년

    중앙일보

    1978.01.28 00:00

  • 서예가 검여 유희강씨 1주기추모 유작전

    작년 10월에 65세로 작고한 서예가 검여 유희강씨의 유작전이 1주기추모를 겸해 마련됐다. 유작 서예집을 호화판으로 간행하면서 갖는 이번 작품전에는 말년의 좌수서 40점을 출품한다

    중앙일보

    1977.10.31 00:00

  • (3)나도 한 몫(하)

    농촌에서 수확 후엔 땔감으로 쓰고있는 수수깡과 옥수수껍질이 훌륭한 외화벌이의 재료가 되고있다. 산에 가면 흔하게 볼 수 있는 칡덩굴·속을 뺀 은행껍질·바위에 붙어 번식하는 이끼도

    중앙일보

    1976.12.03 00:00

  • 첫 선보인 「부조 판회전」

    나무만을 불에 그슬려 끌로 파고 솔로 문지르고 그래서 생긴 결과 골에 붉고 푸른 채색을 입혀 특이한 작품을 선보인 「부조 판회전」이 3월3일까지 미술회관에서 열리고 있다. 목재의

    중앙일보

    1976.02.28 00:00

  • 좋은 대조보인 한·일 꽃꽂이

    한·일 친선 꽃예술작가회(한국회장 김혜림)의 꽃꽂이 전시회가 3일하룻동안 서울「로얄·호텔」「에머럴드· 홀」에서 열렸다. 한국과 일본, 두나라 꽃꽂이 연구가들의 친선을 도모하기 위한

    중앙일보

    1975.08.05 00:00

  • 전통공예 한눈에|인간문화재의 공예작품전

    갓·매듭·백통 담뱃대·화각·자개·참빗·거문고 등 예스러운 민속공예품을 만들 줄 아는 기능자, 이른바 인간문화재의 공예작품 전시회가 지난 30일부터 11월20일까지 창덕궁의 유물 전

    중앙일보

    1973.11.01 00:00

  • 아스팍 민예품전

    「아시아」6개국의 민속예술품이 한자리에 모인 「아스팍」 민예품 전시회가 19일∼5월 9일 국립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다. 회원국의 고유한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상호이해를 드높

    중앙일보

    1973.04.23 00:00

  • (1)청자 퇴화연당초문주자

    국립박물관이 우리 나라 2천년에 걸친 조각·공예품의 정수만을 가려내어 베푼 「한국미술2천년전」에서 청자들은 대개 낯익은 것들인데 그 중에도 낯선 일품이 몇 점 끼여있다. 동원미술관

    중앙일보

    1973.04.19 00:00

  • 일본 동경서 부부전 갖는 동양자수가 유충희 여사

    동양자수가 유충희 여사가 부군인 동양화가 이동천씨와 함께 오는 20일부터 일본 동경 신숙에서 부부 전을 갖는다. 이들은 지난 66년 첫 번째 부부 전을 마련, 그동안 여섯 차례의

    중앙일보

    1972.11.02 00:00

  • 아마추어이긴 하지만 국전에 입선한 적도 있다는 그 여인이 장난삼아 만들지는 않았을 터이고, 내 생각을 솔직이 얘기한다면 그것은 하나의 돌덩어리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 조각은

    중앙일보

    1972.01.01 00:00

  • 임화공 신춘 꽃꽂이 전

    꽃꽂이 연구가 임화공씨의 제3회 개인전인 『신춘작품 전』이 15일∼17일 신세계백화점4층 화랑에서 열리고 있다. 이 해들어 처음으로 마련된 꽃 잔치다. 『서설』『사군자』『난도』『춘

    중앙일보

    1971.01.16 00:00

  • 서울시 과학전 개막

    70년도 서울시 과학전람회와 제4회 교육자료전시회가 29일부터 오는 10월4일까지 6일간 국립과학관에서 열린다. 과학전람회에는 초·중·고등학교학생들이 만든 물리·화학·생물에 관한

    중앙일보

    1970.09.29 00:00

  • (6)집안 꾸미기|ⓛ사교 ②음식 ③바캉스 ④화장·의상 ⑤취미 ⑥집안 꾸미기

    아침저녁엔 선들바람, 낮 시간엔 따가운 태양, 이런 여름날이 계속되고 있다. 지긋지긋한 더위였지만 계절이 바뀌고 있다는 자각은 아쉬움을 불러다 준다. 바다에서 주워온 조개껍질, 산

    중앙일보

    1969.08.21 00:00

  • 원색의 인간 나상|「산불」

    때는 6·25동란 직후. 무대는 아직도 공비들의 출몰이 잦은 소백산맥의 어느 두메산골. 울창한 대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이 마을엔 가난과 무지와 그리고 성 본능에 몸부림치는 과부들만

    중앙일보

    1967.04.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