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태음인의 특성·식품

    태음인은 선천적으로 간장과 소장·쓸개·코·척추·근육의 기능이 강하고 폐장과 식도·기관지·위·피부·귀의 기능이 약하게 태어난다. 우리나라 사람의 약30∼40% 정도가 태음인으로 보여

    중앙일보

    1987.11.24 00:00

  • 심혈질환의 신호|고지혈증 40대 많다|남32·여16% 피속에 지방성분 많아

    최근 혈액검사등의 건강진단을 받은 사람중에 고지혈증이라는 판정을 받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남성의 비율이 높은데, 고려병원이 86년에 건강진단을 실시한 6천34명을 대상으로

    중앙일보

    1987.07.10 00:00

  • 질병없는 사회|당뇨

    우리나라의 사망순위 제9위를 차지하고 있는 당뇨병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60년대에는 당뇨병 환자가 입원환자의 0·9%정도였으나 79년에는 2·4%, 83년에는 3·5%로

    중앙일보

    1986.05.01 00:00

  • 건강지키려면 일에 몰두하라|의사 9인의 "나의 건강·활기찬 삶"

    새해가 되면 누구나 몇가지 결심을 하게 된다. 특히 국민소득 2천달러시대에 접어들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져 새해 결심의 종류도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한것이 주류를 이루고

    중앙일보

    1986.01.07 00:00

  • 마그네슘 부족하면 중추신경에 장애| 곤경

    건강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특정 음식이나 물질이 「어디어디에 좋다」는 얘기를 흔히 듣게 된다. 무기질의 하나인 마그네슘이 근육의 탄력유지에 관계해 성력을 높여주고, 심장근육에도 좋은

    중앙일보

    1985.11.08 00:00

  • 식사 건강학 영양섭취 골고루|주진순·이무하박사팀 한국인 식사가이드라인 마련

    우리의 식생활은 과거에 비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영양소간의 균형있는 식사가 되지못해 허약아가 있는가하면 비만·당뇨·고혈압등의 식원병이 늘고 있다.

    중앙일보

    1985.10.04 00:00

  • 어린이 「성인병」의 증가

    어린이들 가운데 30대 이후의 성인들이 많이 걸리는 만성 신장병, 뇌혈관질환, 간경화증 환자가 늘고, 특히 불치의 암환자가 의외로 많다는 보고는 충격적이다. 의보공단이 조사 분석해

    중앙일보

    1984.07.27 00:00

  • 걷는 것 보다 더 좋은 보약 없다

    사람들은 자신의 건강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고 또 지속적인 운동이 건강에 매우 유익하다는 것까지는 알고 있으면서도 그 실행에는 인색한 편이다. 이제 추위도 물러갔으니 뭔가 한

    중앙일보

    1984.03.17 00:00

  • 모임잦은 연말…술의 건강학

    연말이 가까와오면서 한해를 마무리하는 모임들이 잇따라 열리게되고 이런 자리엔 으례 술이따르게 마련이다.「술은 약인가,독인가」,「술은 얼마나 마시는 것이 적당한가」등의 질문은 수전년

    중앙일보

    1983.12.10 00:00

  • 산·알카리성의 고른 섭취를|자연건강식품|안전하고 먹기도 좋아야|들깨·결명자·두충·오미자는 혈압강하작용

    따끈한 차 한잔에 몸을 녹이고 싶어지는 계절이다. 날씨가 제법 겨울다와지면서 자칫 건강에 소홀히 하기 쉽다. 긴 겨울을 이기기 위해서는 평소와 다름없는 꾸준한 몸놀림과 영양섭취가

    중앙일보

    1982.11.06 00:00

  • 누구든지 손쉽게 돈을 벌수있다|간단한 아이디어의 특허상품

    종래의 포대기는 등에 업힌 어린이가 떨어지지않도록 포대기띠를 힘껏 붙들어 맴으로써 유아의 성장에 지장이 있었다. 또 멜빵만을 사용하여 애를 업으면 겨울에는 별도로 포대기를 대야했

    중앙일보

    1981.05.28 00:00

  • 스트레스·식사·운동이 성인병을 좌우

    조그마한 일에도 화를 잘 내는 사람 육류와 곡류만으로 식사를 하는 사람, 몸을 움직이기가 싫어 운동용 게을리 하는 사람들은 실재 나이보다 육체의 나이가 앞서간다. 육체가 늙으면 그

    중앙일보

    1981.01.07 00:00

  • (321)-호박은 중풍을 예방한다

    예부터 동지에 호박을 먹으면 중풍에 걸리지 않는다든가, 장수한다는 속설이 전해진다. 노년기의 가장 두려운 질환으로 중풍이 손꼽혔었다. 아무렇지도 않던 사람이 하룻밤사이에 수족을 못

    중앙일보

    1975.06.03 00:00

  • (309)-양파는 건강만점을 보증한다

    의료계의 원로 K박사가 70을 바라보는 나이답지 않게 홍안을 자랑하며 정력적인 나날을 보내는 것이 아마도 벌꿀에 들깨 버무린 것을 장복한 탓이 아니겠느냐는 내용이 본 난을 통해 보

    중앙일보

    1975.04.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