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81-90]

    1981년 2. 5 : 허담(외교부), 비동맹외상회의 참석차 뉴델리에 체류 중 성명 발표, 「세계비동맹운동이 제국주의자들의 침략 및 전쟁정책에 대항, 더욱 회원국들간의 단결을 시위

    중앙일보

    2004.10.25 13:30

  • 분단장벽 허물고 통일 첫걸음(남북화해시대:1)

    ◎「합의서」 서명 의의와 전망/46년간의 「비정상」 역사적 청산/상호실체 인정… 교류·군축 “물꼬” 13일로 세계지도에서 유일하게 남은 냉전지역이 사라지게 됐다. 분단이후 처음으로

    중앙일보

    1991.12.13 00:00

  • 남북대화 주요일지

    ▲70. 8. 15 박정희대통령,「평화통일구상」선언 ▲71. 8. 12 최두선한적총재, 이산가족찾기위한 남북적십자회담 제의 ▲71. 8. 14 북한적십자회, 남북적회담제의 수락 ▲

    중앙일보

    1988.07.07 00:00

  • 통계로 본 12대국회 첫1년|국민의「정치수요」와 거리 멀었다

    2·12총선을 계기로 드러난 국민의「정치수요」를 어떻게 조정해 나갈지 지대한 관심속에 출발했던 12대국회―. 이재형국회의장이 정기국회를 끝내면서『1백48건의 의안중 겨우49건만 처

    중앙일보

    1985.12.28 00:00

  • 「대화」를 튼 「대화 1년」 팽팽한 신경전… 「남북의 입」을 줍는다

    남북적십자회담은 3백 65일을 끈 가파른 대화의 고빗길을 넘어 본회담의 문턱에 다다랐다. 이어질 듯 끊기고, 끊길 듯 이어지던 끈질긴 대화는 마침내 26년 동안 철옹벽으로 굳은 남

    중앙일보

    1972.08.12 00:00

  • 남북적십자 본 회담

    19일에 열린 남북적십자 제23차 예비 회담에서는 첫 본 회담을 오는 8월5일에 열 것 등 본 회담 개시를 보증하는 첫 구체적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 첫째번 회담의 장소를 서울로

    중앙일보

    1972.07.20 00:00

  • 회담 연락사무소 개소

    【판문점=변규장 기자】대한 적십자사는 22일 정오 판문점 자유의 집에서 남북 연락 사무소간 전화개통에 이어 회담 연락사무실의 개소식을 가졌다. 개소식에는 최두선 대한 적십자 총재와

    중앙일보

    1971.09.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