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서울대 종신 교수 박차고 LG화학 간 이진규

    서울대 종신 교수 박차고 LG화학 간 이진규

    소재 분야의 세계적 석학으로 꼽히는 이진규(52) 서울대 화학과 교수가 학교를 떠나 새로운 도전을 한다. 서울대 정교수직을 뒤로하고 그가 선택한 곳은 신기술을 개발하는 LG화학 중

    중앙일보

    2015.01.21 00:02

  • 올해 과학기술계 10대 뉴스는?

    올해 과학기술계 10대 뉴스는?

    치매환자 뇌세포 첫 배양, 5배 빠른 와이파이(Wi-Fi) 신기술 등이 올해 가장 주목 받은 과학기술 뉴스로 선정됐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총 3439명의 투표와 전문가 위원

    중앙일보

    2014.12.14 13:38

  • 교통신호등 수명 2배 늘릴 수 있는 기술 개발

    교통신호등 수명 2배 늘릴 수 있는 기술 개발

    현재 5년 주기로 교체하는 교통신호등의 수명을 2배 이상 늘릴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나노소재평가센터 김용성 책임연구원(과학기술연

    중앙일보

    2014.10.14 11:17

  • 진공은 텅 빈 상태? 천만의 말씀

    진공은 텅 빈 상태? 천만의 말씀

    두 거울 사이에 존재하는 진공에너지의 3차원 분포도. 마치 기타 줄이 진동하는 것과 비슷한 높낮이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진공(眞空)은 흔히 아무것도 없는

    중앙일보

    2014.03.11 01:23

  • 전자현미경도 3D 동영상으로 본다

    전자현미경도 3D 동영상으로 본다

    전자현미경은 극히 미세한 세계를 볼 수 있는 ‘눈’을 인류에 선사했다. 전통적 광학현미경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었던 바이러스뿐 아니라 물질의 최소입자인 원자의 사진도 찍을 수 있

    중앙일보

    2010.06.25 00:14

  • [브리핑] 나노 관련 용어 국가표준 정해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20일 명확한 기준 없이 쓰이던 나노(nano) 관련 용어의 국가표준을 제정했다고 밝혔다. ‘나노 크기’는 1∼100㎚(1㎚는 10억분의 1m) 범위로, ‘

    중앙일보

    2009.12.21 01:18

  • 관리 규정 없는 나노물질, 인체에 유해? 무해?

    흡입독성에 대한 위험성 여부가 명확하게 판단되지 않은 나노물질에 관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박준선 의원(한나라당)은 부유된 나노입자가

    중앙일보

    2009.10.22 17:13

  • 뉴트리노·나노·마이크로RNA … 정상에 선 그들

    뉴트리노·나노·마이크로RNA … 정상에 선 그들

    과학 분야 노벨상을 받으려면 ‘독창성’이 중요하다. 기존 연구를 잘 발전시킨 것보다는 ‘남들이 안 했던 연구’ ‘세계 최초’가 평가받는다. 공동 연구는 실험을 어느 나라에서 주도

    중앙선데이

    2009.08.29 23:46

  • 첨단 IT헬멧에 자동 지혈하는 나노섬유 군복까지

    첨단 IT헬멧에 자동 지혈하는 나노섬유 군복까지

    1.무인헬리콥터 ‘파이어 스카우트’ FCS 정찰 장비 가운데 가장 고기능(Class 4)인 이 무인 정찰기는 작전 거리 200㎞로 8시간씩 수㎞ 높이에 체공하면서 정찰하고 동영상

    중앙선데이

    2008.10.26 07:21

  • [과학칼럼] 맞춤치료와 광우병

    지금까지 흔하게 쓰이는 약은 누구에게나 비슷한 효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항고혈압제나 당뇨병 치료제는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비슷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암은 같은 폐암이라도 사

    중앙일보

    2008.06.28 00:10

  • DNA로 새로운 금속 만든다

    재미 한국인 과학자가 금속 나노 입자에 DNA를 붙이는 방법으로 3차원 구조의 금속 결정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영국의 학술지 네이처는 미국 로체스터 대학의 박성용 박사와 노스웨스

    중앙일보

    2008.01.30 1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