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즈 칼럼] 디지털 의료기기 상용화 난제 ‘지불구조’
김진국 서울의료협회 회장 의료계에서도 인공지능(AI) 활용이 활발하다는 소식은 이미 널리 퍼져있다. 하지만 속속 등장하고 있는 디지털 의료기기 상용화에 있어 최대 난제로 꼽히는
-
1년 남은 문 대통령, 욕심 버리고 ‘정책 하자 보수’ 필요
━ 임기 말 대통령 리더십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8일 청와대에서 신년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기자들은 20명만 현장에 참석하고, 100명은 온라인으로 참석했다. 모두
-
[김진국 칼럼] 민주주의는 역지사지다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칼럼니스트 민주주의는 천의 얼굴이다. 정치인은 누구나 민주주의라는 이름을 내세우지만, 우리가 믿는 민주주의와 다른 경우가 많다. 민주주의는 부서지기도 쉽다
-
[김진국 칼럼] 우리가 한국의 트럼프들 아니었나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칼럼니스트 아직도 트럼프 대통령이 승복하지 않는다. 선거를 치른 지 2주가 지났는데도. 정치적 갈등이 국민을 쪼갰다. 극우파 무장단체까지 시위에 합류했다고
-
[김진국 칼럼] 한쪽 눈을 감는다고 세상이 아름다워지나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칼럼니스트 진실을 표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지드래곤이 좋아한다는 미국 화가, 조지 콘도는 한 얼굴에 행복·짜증·기쁨·슬픔 등 여러 감정을 그려 넣
-
[김진국 칼럼] 문 대통령, 37번의 말보다 한 번이라도 실행을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칼럼니스트 문재인 대통령은 37번이나 외쳤다. ‘공정, 공정, 공정…’ 19일 청년의 날 기념사다. 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도 “공정한 대통령이 되겠다”고
-
[김진국 칼럼] 보수의 X맨, 그 새를 못 참나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칼럼니스트 ‘정치는 살아 움직이는 생물’이라는 말이 실감 난다. 불과 넉 달 전 4·15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60%가 넘는 의석을 싹쓸이했다. 선거 직
-
[김진국 칼럼] 최고권력자도 안 되는 게 하나쯤은 있어야 한다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칼럼니스트 촛불 정부는 민주화 운동을 해온 사람들이다. 소위 ‘86’ 세력이 주축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유신반대 시위로 제적되고, 강제징집도 당했다. 그런
-
[김진국 칼럼] 누가 20대를 국외자로 만드나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칼럼니스트 ‘인국공’(인천국제공항공사) 사태를 알아보려고 20대를 만났다가 핀잔만 들었다. “나이 든 사람들은 자기가 다 옳다고만 생각해요.” 정규직화로
-
[김진국 칼럼] 자정 능력 잃은 기득권은 무너진다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칼럼니스트 역사의 힘은 강하다. 충격적인 집단 경험은 큰 상처를 남긴다. 특정 세대에 낙인처럼 남는다. 세월호는 가장 가까운 아픔이다. 되돌아보면 일제 식
-
[김진국 칼럼] 야당 의원에 재미 붙이면 답이 없다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칼럼니스트 미래통합당의 미래는 있나. 4·15 총선 참패 이후 통합당은 정신을 놓아버린 것 같다. 20대 지도부가 대부분 나가떨어지면서 중심을 잡아줄 사람
-
[김진국의 퍼스펙티브]與 180석 통합당 덕분? 꼼수 판친 연동형 선거법 역풍
21대 총선은 여러 가지 기록을 남겼다. 준연동형 선거법도 중요한 이유의 하나다. 미래통합당과 더불어민주당 모두 위성정당을 만들었다. 이런 꼼수로 연동형 제도를 도입한 취지가 사
-
[김진국 칼럼] 거짓의 매트릭스에 갇혀버린 한국 정치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칼럼니스트 벚꽃이 떨어진다. 바람에 흩날리는 꽃잎이 눈부시다. 아파트 주차장에 꽃잎이 쌓이면서 경비원 아저씨들도 바빠진다. 그런데도 봄이 봄 같지 않다는
-
코로나 눈으로도 감염? 우한 안과의사 잇단 사망에 中 떤다
중국 우한에서 안과 의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으로 또다시 사망하면서 눈을 통한 감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구진들은 코로나 19 증상의 하나로 결막염
-
[미리보는 오늘] 중국, 일본에 ‘맞불’?…오늘부터 비자 면제 중단
━ 중국도 오늘부터 ‘일본 비자면제’를 중단합니다. 한·일 두 나라 간 상호 무비자 입국이 중단된 9일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에서 일본발 여객기를 타고 도착한 승객들이 검역
-
[김진국 칼럼] 위성정당, 표로 심판해야 한다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칼럼니스트 말이 무너졌다. 예의도 절제도 없다. 정부가 하는 말이 신뢰를 잃었다. 사람마다 다르고, 시간마다 다르다. 믿을 수가 없다. 듣기 좋은 말은 마
-
[김진국 칼럼] 우리에게는 리원량을 들어줄 가슴이 있는가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칼럼니스트 리원량(李文亮) 이야기는 가슴이 답답하다. 중국 우한(武漢)의 의사였던 그는 지난 연말 친구들에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을 알렸다가 공안으로
-
[김진국 칼럼] 버릴 것은 버려야 한다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칼럼니스트 자유한국당이 젊은 여성 유튜버를 영입했다 사흘 만에 쫓아냈다. 1호 영입도 상징성을 활용하기는커녕 논란만 일으켰다. 그것도 오랫동안…. 선거를
-
[김진국 칼럼] 민주주의야, 살아는 있니?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칼럼니스트 국회의원이 편하게 당선된 때가 있었다. ‘유신’ 시대다. 여야가 나란히 당선되는 1구 2인 선거구제로 바꿨다. 여야 합의? 그런 것 없다. 국회
-
[김진국 칼럼] 뒤를 돌아보는 것은 앞으로 가기 위해서다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칼럼니스트 가끔 남대문 시장을 걷는다. 삶의 의욕이 넘치기 때문이다. 필요한 물건을 살 때도 있다. 그러나 흥정하는 일은 힘들다. 받을 가격을 부르고, 살
-
[김진국 칼럼] 복수혈전만 꿈꾸는가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칼럼니스트 임기 절반에 지지율이 반 토막 났다. 10일이면 문재인 대통령 임기 반환점이다. 산술적으로야 절반이지 하산을 시작한 지는 한참 됐다. 당선 직후
-
[김진국 칼럼] 야당 같은 무책임 여당, 소는 누가 키우나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칼럼니스트 ‘골목식당’이란 TV 프로그램이 있다. 요리 연구가 백종원 씨가 골목식당을 컨설팅해주는 내용이다. 한 덮밥집 편에서 백씨는 젊은 여사장을 호되게
-
[김진국 칼럼] 반대 당이 아니라 국민에게 말하라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칼럼니스트 암담하다. 명분도, 체면도 던져버렸다. 현직 법무부 장관 집이 검찰에 압수 수색 당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작은 마을에 분란이 생겨도, “난 원래
-
[김진국 칼럼] 상식이 무너지고 있다
김진국 중앙일보 대기자 칼럼니스트 조국 인사청문회에서 진실이 의미가 없어졌다. 비난하는 쪽이나 반박하는 쪽이나 서로 ‘진실’(fact)을 외친다. 하지만 더는 진실에 관심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