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3)떡국·만두국·냉면·국수·수제비 등 가루음식-김숙희(이대교수·식품영양학박사)

    정월이 다가오면 떡국이나 만두국을 많이 먹게된다. 그리고 국수는 무슨 큰 행사에 주식으로 많이 등장한다. 결혼잔치에는 으레 빠지지 않는 음식이다. 요즈음은 식량사정으로 분식장려라는

    중앙일보

    1973.12.21 00:00

  • 맛있게 익었을 때 영양최고

    우리나라는 온 가족이 한상에서 재미있게 담소하며 식사하는 것을 단란한 가족의 상징처럼 생각하고 있다. 한상에서 먹는 것은 좋은데 대개의 경우 반찬까지 한 그릇에 담아놓고 수저로 떠

    중앙일보

    1973.12.06 00:00

  • (7) 경상도편|김정선 여사

    경남 울주군 언양이 고향인 작가 오영수씨 댁은 부산 동래 출신의 부인 김정선 여사와 함께 언제나 「순수한 경상도 음식」을 즐긴다. 그러나 서울에선 본고장 재료의 맛을 내기가 무척

    중앙일보

    1973.10.05 00:00

  • 감자와 가지요리

    무더위가 조금 주춤함에 따라 식탁에 변화를 주어 입맛을 돋우어야 할 때다. 아직 생선은 신선하게 즐길 수 없으며 무거운 음식보다 산뜻한 반찬을 만들도록 한다. 요즈음 시장에서 값싸

    중앙일보

    1973.08.29 00:00

  • 식생활(4)냉국

    날씨가 더워 입맛을 잃고 더운 음식을 대하기가 역겨울 때 시원하고 영양가 높은 냉국을 준비하면 식사의 즐거움을 되찾을 수 있다. 짧은 시간 안에 값싸고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오이냉

    중앙일보

    1971.06.24 00:00

  • 함경도

    이미 떠나 온지 20년은 넘었지만 해마다 이때가 되면 두고 온 고향의 매서운 추위가 오히려 그리워진다는「월남」작가 임옥인 여사(건국대 가정대 학장)는 특히『맵싸한 상갓 김치를 한번

    중앙일보

    1970.11.09 00:00

  • 폐백보

    결혼 시즌으로 접어들면서 딸을 시집 보내는 젊은 어머니들은 사소한 준비중의 하나로 폐백보 걱정을 많이 한다. 그저 무늬진 옷감 보자기로 하기에는 너무 소홀한 것 같고 정성 들여 만

    중앙일보

    1970.09.28 00:00

  • 도시락 주머니

    국민학교가 개학이 되어 다시 어린이들의 도시락 싸는 일이 시작되었다. 도시락 반찬 뿐 아니라 주머니에까지 엄마의 솜씨를 발휘, 어린이를 기쁘게 해주자. ▲재료=두꺼운 「캬바」지나

    중앙일보

    1970.09.07 00:00

  • 도시락

    들놀이 가서 먹는 음식은 아무거나 맛이 있다고 하지만 색색으로 맞춰 정성 들여 마련한 도시락은 한층 들놀이를 즐겁게 해줄 것이다 왕준련·유계완·한정혜씨 등 요리연구가와 함께 들놀이

    중앙일보

    1970.04.04 00:00

  • 김치맛 향수

    ○…지난 추석에 월나에 있는 화랑의 후예들은 고국에서 정성껏 보내준 많은 반찬들을 맛있게 먹었다. 그중에서 특히 김치란놈은 수월찮이 각개인에게 분배 되어졌다. 때마다 많은량의 밥을

    중앙일보

    1967.11.16 00:00

  • 김장 맛있게 담그려면|그 요령 몇가지

    김장은 섭씨 5도안팎에서 담근후 같은 기온이 15∼20일간 계속된 후 추워지면 이상적이 다. 금년에는 11월말까지 평년보다 약간 기온이 내려갈 우려가 있다고 관상대는 예보하고있지만

    중앙일보

    1965.11.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