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궁궐보다는 매일 접하는 가게·식당·길이 진짜 문화유산"

    "궁궐보다는 매일 접하는 가게·식당·길이 진짜 문화유산"

    미군들로 북적였던 파주 파평면 장파리의 한 클럽. 지금은 폐업했다. '가왕' 조용필이 섰던 곳이기도 하다. 김시덕 교수는 이런 곳을 '도시 화석'이라고 부른다. [사진 김시덕 교

    중앙일보

    2021.08.23 16:45

  • [남기고] 고건의 공인 50년 (35) 71년 광주대단지 사건 ②

    [남기고] 고건의 공인 50년 (35) 71년 광주대단지 사건 ②

    1971년 경기도 광주대단지(지금의 성남시 일대)의 빈민촌 모습이다. [중앙포토] 1969년 5월부터 71년 8월까지 서울에 살던 철거민 12만6215명이 경기 광주대단지(지금의

    중앙일보

    2013.04.02 00:49

  • (7)정착개발지|시민의 안전생활을 위한「캠페인」

    지난 홍수는 특히 서울변두리 난민정착지로 출발한 미개발지구일대에 가장 큰 피해를 안겼다. 대표적인 곳이 영등포구 봉천동·신림동·시흥동, 그리고 신정동·목동일대. 이 중에도 신정동과

    중앙일보

    1972.09.19 00:00

  • 광주단지에 진료반 설치

    양탁식 서울시장은 20일 광주대단지 이주민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시립병원의사 및 간호원으로 구성된 진료반을 광주대단지에 상주시켜 매일 상오9시부터 하오5시30분까지 무료 진료토록 하

    중앙일보

    1970.11.20 00:00

  • 공동식수 20일까지 증설 19공탄은 20원 선을 유지

    서울시는 13일 겨울철을 앞둔 광주대단지 이주민들에 대한 월동대책을 마련, 식량·수도·연탄 등 기초적인 생활수단의 확보에 만전을 기하도록 했다. 제주대단지사업에 종합적이고 효과적인

    중앙일보

    1970.11.13 00:00

  • 광주단지 8개 공장 착공

    광주대단지 공장기공 및 통수식이 19일 하오 3시 양택식 서울시장 참석아래 열렸다. 무허가 판자촌의 철거이주민이 수용된 이 광주대단지는 그동안 이주민들의 생활권이 형성 안되어 철거

    중앙일보

    1970.09.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