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내 연구진,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나노물질 개발

    국내 연구진,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나노물질 개발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에 빛이 잘 들어가도록 돕는 나노물질 개발에 성공했다.   민달희 교수[사진 한국연구재단] 23일 미래창조과학부는 민달희 서울대 화학부 교수팀이 다른 세포보다

    중앙일보

    2017.04.25 11:39

  • 출동! 나노 로봇, 혈관 타고 온몸 돌며 진단·치료 동시에

    출동! 나노 로봇, 혈관 타고 온몸 돌며 진단·치료 동시에

    관련기사 나노 미사일, 나노 로봇 … 불치병 전선으로 나노를 이용하면 몸의 구석구석이 전등처럼 비친다. 1980년대 후반부터 MRI(자기공명영상촬영)에 자성 나노 입자가 조영제로

    중앙선데이

    2014.09.28 03:38

  • 항암제 내성 암세포 치료 가능성 활짝

    항암제 내성 암세포 치료 가능성 활짝

    빛을 받으면 암 세포의 세포막만을 골라 뚫어버리는 나노 물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항암제에 내성(drug resistance)을 지닌 암세포도 이 방법을 응용하면 한층

    온라인 중앙일보

    2014.07.08 02:06

  • 암세포 만나면 자폭 … '나노 수류탄' 첫 개발

    암세포 만나면 자폭 … '나노 수류탄' 첫 개발

    사람 몸 안에서 암세포를 만나면 스스로 터지는 ‘나노 수류탄’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폭발과 함께 자기공명영상(MRI) 조영제와 치료제가 쏟아져 나온다. 3㎜ 이하의 작

    중앙일보

    2014.04.07 00:29

  • [헬스코치] '빛으로 암 치료해?' 광역동치료 어디까지 왔나

    [헬스코치] '빛으로 암 치료해?' 광역동치료 어디까지 왔나

    암을 이기는 정보 암이란닷컴 대표최상규암의 3대 표준치료를 위협하는 새로운 치료가 있을까? 물론 아직은 없다. 유전자치료나 면역치료가 등장하여 기대를 모았지만, 아직 충분한 임상자

    중앙일보

    2012.01.31 15:01

  • 레이저로 암세포만 골라 없애는 ‘광역동 치료’선구자

    레이저로 암세포만 골라 없애는 ‘광역동 치료’선구자

    분당서울대병원 흉부외과 전상훈(52·사진) 교수는 빛으로 암세포를 콕 찍어낸다. 레이저를 쏴 암세포만 골라 제거하는 광역동(光力動) 치료(photodynamic therapy)가

    중앙일보

    2011.09.19 00:28

  • 세계 프로폴리스사이언스포럼, 어떤 발표 나왔나

    세계 프로폴리스사이언스포럼, 어떤 발표 나왔나

    [일러스트=강일구] 벌집에서 추출하는 ‘프로폴리스(Propolis)’는 벌이 안겨준 천연항생제다. 벌은 프로폴리스를 벌집을 만드는 접착제로 사용한다. 나무에서 채집한 수액에 벌의

    중앙일보

    2010.11.08 00:26

  • 여름만 되면 여드름이 늘어나는 이유는?

    여름만 되면 여드름이 늘어나는 이유는?

    여름의 초입 올라간 기온만큼이나 늘어난 피지 분비는 가장 흔한 여드름을 비롯해, 블랙헤드 등을 유발시키기도 하며, 늘어난 피지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면서 모공이 확장되는 원인이 되

    중앙일보

    2009.06.01 10:45

  • 숨겨야 할 약점이 있다면, 절대 뒷모습을 보이지 말 것

    숨겨야 할 약점이 있다면, 절대 뒷모습을 보이지 말 것

    -뒷모습은 거짓말을 할 줄 모른다- 아름다운 뒷모습 만들기 노하우 올 여름, 등이 파인 패션이 유행하면서 다른 때보다 뒷모습에 신경을 쓰는 여성들이 많다. 하지만 군살 없는 매끈한

    온라인 중앙일보

    2008.08.22 09:03

  • 암 레이저 치료 신 광감작제 개발

    금호석유화학은 암의 광역학 치료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신물질 ''KHD-2001'' 를 개발했다고 9일 발표했다. 이 회사 부설 금호생명환경과학연구소의 조정우 박사 연구팀

    중앙일보

    2001.01.10 16:58

  • 암 레이저 치료 신 광감작제 개발

    금호석유화학은 암의 광역학 치료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신물질 'KHD-2001' 를 개발했다고 9일 발표했다. 이 회사 부설 금호생명환경과학연구소의 조정우 박사 연구팀은

    중앙일보

    2001.01.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