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전대통령 내외 등 16만명 참배

    고 박정희 대통령 서거1주기를 맞아 26일 서울 구작동 국립묘지 고인의 묘소에는 전두환 대통령 내외를 비롯, 남혜우 국무총리와 전 국무위원·이영섭 대법원장·문관찰 국회의장대리 등

    중앙일보

    1980.10.27 00:00

  • 1주기 사적 추모 모임

    ○…일요일인 10월26일 고 박정희 전 대통령 1주기를 맞아 공식행사가 없이 사적인 추모모임만 몇 곳에서 있을 예정. 유족들은 신당동 사저에서 26일 하오6시 소양제위를 올릴 예정

    중앙일보

    1980.10.25 00:00

  • 대구서도 손수건 휘호

    ○…김종필 공화당 총재는 1일 경상북도 당 순시에서 『경북은 고 박정희 대통령과 같은 위대한 영도자를 낳은 곳이며 내 처가의 고장』이라고 말하고 박대통령을「가신 어른」이란 표현으로

    중앙일보

    1980.02.02 00:00

  • 구미 생가에 문상 줄이어…

    【구미】구미시상모동 고박대통령 생가에는 27일 상오9시쯤 이웃 주민들과 구미시관계자들이 5평정도의 대청마루 가장자리에 고박대통령 영정을 걸고 빈소를 마련, 조객들을 맞고있다. 정충

    중앙일보

    1979.10.28 00:00

  • 구미 선영찾아 성묘

    박정희 대통령은 6일 영식 지만 육사생도와 함께 경북 구미시 상모동 선영을 찾아 성묘했다. 박대통령은 귀향을 반기는 주민들의 인사에 일일이 답례하고 생가에 들러 잠시 담소를 나눴다

    중앙일보

    1979.10.08 00:00

  • 계룡산내 암자 정비하라

    【대전=조남조기자】박정희대통령은 23일 충남도를 순시,『허가 없는 유사 종교 단체들이 들어가 계룡산을 망치다시피 했다』고 지적하고 『과거 합법적으로 허가 해준 암자 등에 대해서는

    중앙일보

    1979.02.24 00:00

  • 박대통령 선영찾아 성묘…주민과 환담

    박정희 대통령은 20일 경북구미시상모동 향리선영을 찾아 성묘하고 금오산관광「호텔」에서 1박한후 21일 구미시청에 들러 시경보고를 받고 돌아오는 길에 충북 옥천에 있는 빙부·빙모 묘

    중앙일보

    1978.09.22 00:00

  • 정화 2년도 안된 강릉 오죽헌 비 새고 문짝 뒤틀려

    【강릉】이율곡 선생의 생가인 오죽헌(보물 제1백65호)이 정화사업 준공 2년도 못돼 물이 새고 구조물이 뒤틀리며 전기누전이 일어나 는 등 곳곳에 하자가 드러나 보수공사를 하는 소동

    중앙일보

    1978.04.20 00:00

  • 박 대통령, 미 장교에 편지

    박정희 대통령은 미 제 7병기 대대의 「조지·스코트」대위가 위험을 무릅쓰고 대형 폭발물을 안전 분해했다는 미담을 듣고 지난 27일 김정렴 비서실장에게 지시하여 감사편지를 보냈다.

    중앙일보

    1977.12.30 00:00

  • 박대통령, 선영 성묘

    박정희 대통령은 지난 8일 3군 사관학교 체육대회를 마치고 휴가를 받아 귀가중인 영식 지만 생도와 영애 근혜·근영 양을 데리고 경북 선산군 귀미읍 상모 리에 있는 선 영을 찾아 성

    중앙일보

    1977.10.10 00:00

  • 박대통령 전기 낸「뉴」판사

    28일 하오 박정희 대통령은 청와대에서「한국의 개혁자 박정희」라는 전기를 집필, 출판한「브라질」지방고등법원「뉴튼·사바·기마리앙이스」판사를 접견, 1시간40분 동안 환담. 「기마리앙

    중앙일보

    1977.06.29 00:00

  • 이율곡 선생의 생가|오죽헌정화 준공

    이율곡 선생의 생가인 강릉 오죽헌 (보물 제165호)정화사업이 끝나 7일 준공식을 가졌다. 75년10월28일 착공돼 대통령하사금 2억7천6백 만원·지방비 1억9천5백 만원 등 총

    중앙일보

    1976.05.07 00:00

  • 현충사 참배, 용원에 선물

    김성진 문공부장관은 일요일인 28일 현충사를 참배하고 직원들에게 『여기는 박 대통령이 가장 숭배하는 분을 모신 곳인 만큼 여러분은 늘 마음으로는 박 대통령을 가까이 모신 셈이니 더

    중앙일보

    1975.12.29 00:00

  • 검은 「리번」달고 애도(육 여사 생가)|장거리 전화 잇따라(박 대통령 생가)

    군민 추도식 갖고 【옥천=이민종 기자】고 육 여사가 태어난 향리 옥천읍은 16일 하루를 철시하고 읍민들은 이날 태극기에 검은 「리번」을 매단 조기를 문 앞에 내걸며 깊은 서러움에

    중앙일보

    1974.08.16 00:00

  • 박대통령 연두회견 요지

    ▲북한의 평화협정 주장에 대해=평화협정이라는 말이 처음 나은 것은 71년8월 미국「뉴요크·타임스」지의 기자가 중공을 방문, 주은내를 만났을 때 주가 끄집어 낸 얘기다. 그후 북한은

    중앙일보

    1974.01.18 00:00

  • "문화민족은 행동으로…"

    박정희 대통령의 중앙관서연두순시는 27일로 사실상 끝났다. 순시 첫날인 15일 경제기획원에서 경주종합관광개발계획「브리핑」을 들은 뒤 문화재보호는 바로 애국이며 조상에 대한 사랑이라

    중앙일보

    1973.01.27 00:00

  • (552)내가 아는 이 박사 경무대사계 여록(179)|한갑수

    이박사가 만송의 장남 강석군을 양자로 맞은 이야기는 너무나 잘 알려진 사실이라 여기서는 입적 과정에 관한 이야기는 생략하고 이박사 내의의 강석에 대한 사랑이 얼마나 극진했던가를

    중앙일보

    1972.09.07 00:00

  • 총력안보 지도요강 마련

    정부는 18일 하오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공무원과 국민 모두가 비상시국을 극복하는 생활지표로 삼도록 한 「총력안보의 개념과 지도요강」을 의결했다. 국무회의를 주재한 박정희

    중앙일보

    1972.02.19 00:00

  • "대표사양에 일리있어…"

    ○…협상대표를 서로꺼리는 통에 그인선에 골치를 앓던 공화당은 하룻밤 사이에 대표를 모두 바꾸었다. 공화당의 대표단은 전원교체는 26일하오 청와대에서 열린 정부·여당연석회의에서『대표

    중앙일보

    1968.11.27 00:00

  • 「제2외교」…한일협력위

    ○…박정희대통령은 11일 고향인 경북 선산군 구미읍에 있는 양송이 가공공장준공식에 참석한 기회에 상모동에 있는 생가에 들러 와병중인 맏형 동희옹을 문병하고 성묘도 했다. 작년 5월

    중앙일보

    1968.11.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