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좀 더 나은 삶, 이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브랜드의 목소리를 쫓아갑니다. 세상을 바꾸는 브랜드 목소리, 'Voice Matters(목소리는 중요하다)' 김민정 기자입니다.


잘 하는 일로 세상을 이롭게

'선한 영향력'이란 말을 잘 사용하는데요. 저마다 정의는 조금씩 다르겠지만, 저는 각자가 지닌 능력을 비단 자신의 발전뿐 아니라 타인과 사회의 성장을 위해 쏟는 활동이라 풀이하고 싶습니다. 자신이 잘 하는 일로 본인 뿐 아니라 주변 사람에게 행복감을 주고 세상을 이롭게 하는 것이지요.

2-3년 전부터 기업의 이 같은 활동을 'ESG경영'이라 얘기해왔습니다. 좀 더 좁혀 말하면 ESG 중 S(Social, 사회)에 해당합니다. 본업을 잘해서 재무 가치를 끌어올릴 뿐 아니라 인권 경영, 사회공헌, 소비자 안전 등의 영역도 고려하며 기업의 사회(기여)가치를 함께 끌어올리는 것이죠.

기업의 '선한 영향력'은 이제 필수가 됐습니다. 2년 전 유럽연합(EU)은 소셜 택소노미(Social Taxonomy) 보고서 초안을 마련하고, 무엇이 진짜 사회공헌인지 판별하는 기준을 세웠습니다. 기업이 잘 하는 일로 돈을 버는 것 뿐 아니라, 그 잘 하는 일로 세상을 얼마나 이롭게 했는지 객관화시켜 평가하겠다는 포석입니다. 국내에서도 더디지만 소셜 택소노미 논의가 조금씩 구체화되고 있는 모양새인데요. 비크닉 Voice Matters는 올해도 잘 하는 일로 세상을 이롭게 만드는 데 힘을 보탠 기업과 브랜드를 찬찬히 들여다보고자 합니다. 그 첫 사례는 시몬스입니다.

시몬스가 지난해 10월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 환아에게 선물한 굿즈(상품) 세트로, 시몬스가 기획한 문구용품들이 담겨 있다. 사진 시몬스.


삼성서울병원과 협업한 ESG 침대

소아·청소년은 국가의 미래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출산율 감소의 여파로 소아·청소년 의료 붕괴를 우려해야 하는 상황이 됐습니다. 얼핏 보면 이렇다할 연결 고리가 없을 것 같은 침대회사 시몬스가 이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힘을 보태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시몬스와 삼성서울병원의 인연은 2020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소아암, 중증 희귀·난치성 질환을 앓고 있는 소아·청소년 환자들의 치료를 위해 시몬스는 매해 3억원을 기부해왔는데요. 기부금은 주로 수술이나 검사 등 외래 진료, 입원 치료비, 휠체어나 의료기기 구입 등에 활용됐습니다. 기부금으로 치료 받은 환자 수만 80여 명에 달한다고 하네요.

시몬스는 단순 기부에 그치지 않는, 더 좋은 방법은 없을까를 고민합니다. 그러다 이달 초 세상에 하나뿐인 특별한 침대를 내놨는데요. 삼성서울병원과 협업한 'ESG 침대'가 그 주인공입니다. 이 제품의 정식 이름은 '뷰티레스트 1925'. 지난 1925년 시몬스가 선보인 인기 매트리스 콜렉션 '뷰티레스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한국에서 새롭게 내놓는 신규 매트리스입니다. 단단한 면, 부드러운 면을 모두 가지고 있어 양면 활용이 가능한 게 특징입니다. 시몬스의 다른 매트리스들처럼 1급 발암물질 라돈 안전인증을 받았습니다.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 소재를 적용했고요.

'뷰티레스트 1925'. 사진 시몬스.

'뷰티레스트 1925' 판매액의 5%는 차곡차곡 적립돼 2025년 삼성서울병원 별관 자리에 증축 예정인 '소아청소년센터'(가칭) 설립 기금으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제품을 구매하면 소비자 역시 간접적으로 기부에 힘을 보태는 셈이죠. 전국 매장에 해당 제품이 순차적으로 판매되고 있는데, 의미 있는 소비를 원하는 이들 사이에서 관심이 뜨겁다고 합니다.

이제 제품의 빼어난 기능, 성능 만으로 시장을 이끌어가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한 제품이 지닌 서사, 이 제품이 세상에 나와 어떤 긍정적 나비효과를 일으키는지까지도 소비자의 깐깐한 선택 기준에 자리 잡은 것이죠.


시몬스의 공간 브랜딩, 소아 병동에도

시몬스가 진짜 잘 하는 한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공간 브랜딩'입니다. 시몬스는 그 동안 경기도 이천, 부산, 서울 청담동에 복합문화공간을 만들어왔는데요. 시몬스 테라스, 그로서리 스토어(식료품점) 등이 대표적 예입니다. 로컬 브랜드와 협업해 특별한 공간을 만들고, 그 도시만의 문화를 구축하기도 했습니다. 복합문화공간을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시몬스 브랜드를 오래도록 사랑한 팬(소비자)과 브랜드를 연결하는 일종의 사랑방으로 만든 겁니다. 이 특별한 공간의 기획과 디자인은 모두 시몬스 자체 '디자인 스튜디오'가 도맡았습니다.

지난해 문을 연 시몬스 청담 그로서리 스토어 전경. 이 팝업스토어의 공간 기획·디자인 등은 시몬스 내 자체 '디자인 스튜디오'가 맡아 진행했다. 사진 시몬스.


막강한 이 브랜딩 능력을 이번에는 소아 병동 단장에 쓰겠다는 포부인데요. 시몬스는 오는 2025년 증축 예정인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센터'(가칭) 공간 디자인에도 힘을 쏟습니다.

삭막함, 긴장감, 두려움이 감도는 병원이 아니라 환자든 환자 가족이든 누구나 편히 머물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게 목표라는데요. 이미 스페인, 영국 왕립 병원 등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소아·청소년 병동을 작은 미술관 혹은 상상력의 공간으로 활용한 사례들이 많습니다. 이를테면 아이들이 긴장감을 덜고, 인지 발달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각종 기하학 도형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거나 은은한 파스텔 색상을 활용해 차분하고 아늑한 느낌을 주는 것이죠. 치료 공간이기 이전에 심적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 디자인 한 겁니다.

공간을 독특한 감성으로 채워 넣어 브랜드를 찾는 소비자에게 색다른 경험을 선사했던 시몬스가 삭막한 병동을 어떻게 활력 넘치는 공간으로 탈바꿈 시킬까요?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시몬스 디자인 스튜디오는 삼성서울병원 의료진, 관계자 등과 조율하며 찬찬히 밑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공간 브랜딩뿐 아니라 소아청소년 병동을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을 다양화 하는 스토리 브랜딩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합니다. 소아청소년 병동에는 환자와 환자 가족, 의료진 뿐 아니라 다양한 인간 군상들이 일상을 보내고 있어요. 생(生)과 사(死)의 갈림길에서 매우 힘겹게 일상을 보내는 이들도 있지만, 결코 이 모습만이 전부는 아닙니다. 병동의 일상에도 소소한 인생사가 있고, 웃음이 있고 행복이 있죠. 우리가 쉽게 보지 못했던 다양한 장면과 이야기를 잘 끌어내 소아청소년 병동을 바라보는 우리들의 관점을 다양화 하고 싶다고 합니다.

"ESG 경영이 대단히 거창한 건 아닙니다. 우리가 잘 하는 것을 통해 세상을 이롭게 하는 마중물이 되고 싶어요. 삼성서울병원-시몬스의 ESG 협업 모델이 잘 정착되고, 소아청소년센터가 자체 브랜드 파워를 가지고 자생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주고 싶습니다." - 김성준 시몬스 브랜드전략기획 부문장-

해외 사례를 뛰어넘는, 시몬스만의 소아병동 브랜딩 결과물이 나올 수 있을지 기대가 되기도 하는데요. 어떻게 보셨나요? 보이스 매터는 다음에도 선한 영향력을 발휘한 브랜드를 찾아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스몰토크

1. 결혼 안 해도 괜찮아…1억 훌쩍 넘는 특급호텔 예약 꽉 찼다

엔데믹 이후 프리미엄 웨딩 트렌드가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호텔 예식장이 조기 마감되는가 하면, 고가 예물 '오픈런'도 늘었죠. 업계 또한 '부자 신혼부부' 맞이에 공을 들이고 있는데요.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까요?

2. 꽁꽁 숨겨뒀는데 이젠 노마스크…104% 매출 폭주한 상품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이후 일주일 동안 유통 업계에 '훈풍'이 불고 있어요. 백화점과 대형마트에서는 시식·시향이 자유로워졌고, 문화센터에도 온기가 돌고 있다고 합니다. 색조 화장품과 피부 관리 용품 매출까지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해요.

3. “주 1회 부사장 모십니다” 일본서 인기 끄는 ‘고향 부업’

일본 돗토리(鳥取)현의 구인·구직을 중개하는 현립 돗토리헬로워크 프로젝트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도시의 인재가 부업·겸업 형태로 현 소재 기업의 부사장을 맡아 주 1회 자문하는 방식인데요. 지방과 전문가를 연결해 지방회생을 돕는다고 합니다.


퀘스천쿠키

27개월간 마스크에 막혔던 삶 해방, 무엇을 먼저 하고 싶으세요?

코로나 시대를 거치며 우리는 '선(線) 넘지 않는 삶'에 익숙해졌습니다. 거리두기는 일상이 됐고, 가까이 다가가 베푸는 사랑은 사치가 됐죠. 마스크에 막혔던 삶이 조금씩 해방되고 있습니다. 철학자 레비나스는 존재의 증명은 곧 '선(善)'의 증명이라고 얘기했는데요. 얼마나 선한 일을 하는가에 따라 이 세상에 더 많이, 더 의미 있게 존재할 수 있다는 말이죠. 이제 그어진 선(線)을 넘어 짓눌렸던 사랑과 선(善)을 마음껏 나눠보면 어떠할까요? (원문읽기)



오늘 뉴스레터 어땠나요?

좋았어요 아쉬웠어요


매일 수요일 뉴스레터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