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으로] 물도 맛이 있다!?

중앙일보

입력

물이 맛있다? 땀 흘리며 열심히 일한 후 마시는 시원한 물 한 잔의 맛은 딱 꼬집어 말할 수 없지만 참 맛있습니다. 그런데 왜 맛있을까?

과학자들은 물의 맛이 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35∼45℃의 미지근한 물은 맛이 없지만 13℃ 전후의 시원한 물과 70℃ 정도의 뜨거운 물은 맛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물의 맛을 결정하는데 온도만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물 속에 어떤 성분이 녹아있느냐에 따라서도 물 맛은 달라집니다.

물 속에 칼슘(Ca2+)이나 마그네슘(Mg2+) 이온이 많이 녹아 있으면 물 맛은 떨어집니다. 어떤 경우는 쓴 맛이 나기도 합니다. 이런 물을 센물이라고 하는데, 센물은 비누와 침전을 형성하기 때문에 거품도 잘 일지 않아 빨래도 잘 되지 않습니다.

반면 이런 이온들이 없는 물을 단물이라고 하는데 물 맛도 좋고 또한 빨래도 잘됩니다. 센물을 단물로 만드는 방법은 센물에 석회(CaO)와 소다재(Na2CO3)를 넣으면 물 속에 있는 칼슘이온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탄산칼슘(CaCO3)이 생기면서 단물로 변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센물과 단물을 예로 들었지만 물의 맛은 그 외에도 매우 다양합니다. 전국의 유명한 약수터의 물들이 그 예입니다. 약수터 물이 독특한 맛을 내는 이유는 그 물 속에 철분, 불소, 무기질, 탄산가스들이 녹아 있기 때문입니다.

혀 끝을 톡 쏘는 듯한 자극을 주는 물에는 탄산가스가 녹아 있어 그렇고, 주변에 붉은 빛을 띠는 것은 철분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유엔은 우리나라를 물 부족 국가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우리 주변에 너무 흔해 자칫 그 소중함을 잊고 있었다면 이쯤에서 다시 한번 물의 소중함을 생각해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여러분! 물을 아껴씁니다!!

자료제공 : 재밌다넷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