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출마 날’ 벼르는 비박 3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새누리당 비(非)박근혜계 주자 3인(정몽준·이재오·김문수)이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출마 선언 직후 공동으로 ‘경선 거부’ 선언을 하는 카드를 꺼냈다. ‘잔칫날’ 재를 뿌리겠다는 얘기다. 경선 룰에 대한 박 전 위원장의 ‘고집’을 부각시켜 압박을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기도 하다. 이 같은 공세 예고에 박 전 위원장은 출마 선언을 7월로 늦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 의원은 24일 기자회견에서 “경선 룰 논의기구가 무산되면 경선 참여가 어렵다. 박근혜 전 위원장이 최종 판단을 잘하길 기대한다”고 했다. 김 지사도 “1987년 6·29선언으로 체육관 선거가 대통령 직선제가 됐듯 (박 전 위원장이) 완전국민경선제를 수용하는 제2의 6·29선언을 해달라”고 촉구했다. 김 지사 측 신지호 전 의원은 “세 주자는 ‘룰 변경 없이는 불참한다’고 여러 차례 밝혔기 때문에 박 전 위원장의 선언 직후 공동 거부 선언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박 전 위원장 측은 출마 선언은 7월 초~중순께로 연기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룰 갈등이 해소 안 된 상황에서 출마 선언을 서둘러 비박 주자들이 공세에 나설 명분을 주기보다 민생 행보에 주력하는 게 낫다는 의견이 많다”고 전했다.

 다만 박근혜계 핵심 당직자는 “이제 시간이 없어 2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룰 변경 없이 8월 19일 경선 투표 및 20일 후보자 선출 전당대회 등 경선 일정을 확정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박 전 위원장의 대선 경선 캠프도 이번 주 중 출범시켜 대선 행보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경선 캠프엔 홍사덕 전 의원이 좌장, 최경환 의원이 총괄 및 공보, 유정복 의원이 직능, 홍문종 의원이 조직 파트를 맡는 방안이 유력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