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평양 간 노무현, 김정일에…'새 증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노무현 정부 시절 국가전략 차원에서 북한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이 추진됐으며, 2007년 10월 2일부터 4일까지 평양에서 열렸던 남북정상회담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남북FTA’를 제안했었다는 증언이 나왔다. 남북FTA는 민족 간 내부거래 형태이던 남북 간의 무관세 거래를 국제적으로 공인받는다는 구상이다.

 노무현 정부 핵심인사는 16일 “노 대통령이 김정일 위원장과 평양에서 만났을 때 ‘남북 FTA를 해봅시다’라고 제안했었다”고 말했다.

 이 인사는 “김 위원장은 (한국이) ‘FTA를 하는 것은 알지만, 나중에 봅시다’며 확답을 주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남북FTA는 현 정부 들어 폐기된 거나 마찬가지지만 언젠간 재추진돼야 한다”며 이 같은 내용을 전했다.

 이와 관련해 한·미 FTA 협상을 총괄지휘했던 김현종 전 통상교섭본부장은 2007년 5월 노 전 대통령에게 남북FTA의 추진을 건의했다고 회고록(『김현종, 한미 FTA를 말하다』)에서 밝히고 있다. 세계 45개 국가와 동시다발적 FTA 협상을 시작했던 김 전 본부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FTA는 경쟁력을 강화하고 부를 늘려 통일국가로 가기 위한 제2의 개항 ”이라며 “ 최종 귀착지는 남북FTA였다”고 설명했다.

 한덕수(무역협회장) 당시 국무총리도 정상회담 직전인 2007년 9월 기자들과 만나 “북측이 FTA에 관심을 갖고 있어 정부는 북측에 FTA 관련 자료를 보내 이해를 도왔다”며 “남북 FTA는 김 위원장의 판단에 달렸다”고 했었다.

 김 전 본부장의 건의 이후 실제로 정부가 남북FTA를 위해 북측과 사전 정지작업을 벌였던 셈이다. 그러나 당시 통일부 장관이었던 이재정 통합진보당 고문은 통화에서 “노 대통령이 남북FTA를 제안한 일이 없다”고 엇갈린 증언을 했다.

관련기사 보러가기▶ 김현종 “중국·홍콩처럼 남북FTA 하시죠”

노무현 무릎 치며 “신기하네, 어떻게 이런 생각을 …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