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몰입’ 잘 하려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새학기를 맞은 학생들의 가장 큰 관심거리는 ‘성적’이다. ‘어떻게 하면 성적이 오를까’ 고민이 많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교육 전문가들은 흔히 “공부에 몰입할 것”을 권한다. 몰입이란 주어진 모든 시간과 정신을 하나의 문제에 집중해 생각하는 것을 일컫는다. 집중력이 최고조에 이른 단계다.

정신과 전문의 최혜원(목동 마음누리크리닉 원장) 박사는 “몰입 단계에 접어들면 뇌에서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돼 기쁨을 느낀다”며 “몰입의 기쁨을 경험해 본 학생들은 공부에 대한 성취감과 흥미를 느끼는 단계에 이른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무나 몰입단계를 경험하는 것은 아니다. 오랜 시간 동안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등의 꾸준한 훈련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몰입을 잘하기 위해선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해 확실한 목표가 있어야 하며, 자신의 능력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일이어야 한다. 확실한 목표가 있어야만 그 일에 대해 재미를 느낄 수 있고,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실현 가능한 일이어야 흥미를 느껴 하나의 일에 꾸준히 집중하게 된다. 비상교육 공부연구소 이지원 부소장은 “하나의 일을 진행할 때엔 반드시 피드백 과정을 거치면서 현재 상황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수정해 나가는 과정에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잡아나가면 집중력과 흥미 정도를 끌어올릴 수 있다.

고도의 집중 상태에 이르게 되면 도파민이 분비되면서 쾌감을 느끼고, 이 상태가 계속될 경우 쾌감이 증폭돼 평소 풀리지 않던 문제도 해결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런 과정을 반복하면서 성적은 자연스레 향상되는 것이다.  

최석호 기자

몰입에 이르는 5단계

◆ 1단계 생각하는 연습- 5분 생각하기

방법: 풀리지 않는 문제를 5분 동안 생각 (하루 다섯 차례, 2주 이상 연습)

목표: ‘나도 몰입할 수 있다’는 자신감 기르기

◆ 2단계 천천히 생각하기- 20분 생각하기

방법: 풀리지 않는 문제를 20분 동안 생각 (하루 한 차례, 2주 이상 연습)

목표: ‘생각하는 게 힘들다’는 생각을 없애고, 깊이 생각할 수 있는 상태에 도달

◆ 3단계 최상의 컨디션 유지- 한 시간 생각하기

방법: 풀리지 않는 문제를 한 시간 동안 생각 (하루 다섯 차례, 2주 이상 연습)

목표: ‘나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선 규칙적인 연습이 필수’라는 점을 깨달음

◆ 4단계 두뇌활동 극대화- 두 시간 이상 생각하기

방법: 풀리지 않는 문제를 두 시간 이상 생각

목표: 두 시간 넘는 시간을 한 문제만 생각하기

◆ 5단계 공부에 대한 관점의 변화

방법: 주말·방학을 활용해 하루 이상 몰입 체험

목표: ‘하나의 일을 꾸준히 함으로써 특정 결과에 도달할 수 있다’는 깨달음을 얻음

자료: 비상교육 공부연구소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