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돌아온 신궁' 김수녕, 세계무대 화려한 컴백

중앙일보

입력

6년의 세월이 흘렀다.

수줍음을 타던 소녀는 이제 두 아이의 어머니가 됐지만 시위를 당기는 매서운 눈빛은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6일(한국시간) 덴마크 브론비에서 벌어진 유러피언 그랑프리 양궁대회. '돌아온 신궁' 김수녕(29.경북 예천군청)은 복귀 후 처음 나선 세계대회에서 차분하게 사선 위에 섰다.

8강전에서 맞붙은 나탈리야 볼로토바(러시아)는 적수가 되지 못했다. 볼로토바가 1백4점을 쐈지만 김수녕은 9점이나 앞선 1백13점으로 기를 꺾었다. 4강전에서는 대표팀 후배 김남순(인천시청)을 꺾고 올라온 옐레나 플로트니코바(카자흐스탄)를 1백10 - 1백6으로 물리쳤다.

1988년 서울올림픽 2관왕, 바르셀로나올림픽 단체전 금메달리스트 김수녕의 존재를 잊었던 외국팀 관계자들도 그제서야 그녀를 알아봤다.

마침내 결승전. 스페인의 알무메다 가야르도가 끈질기게 물고 늘어졌지만 스코어는 1백5 - 1백2로 김수녕의 3점차 승리.

김수녕은 6살짜리 딸 지원이와 16개월된 아들 정훈이에게 자랑스런 엄마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은퇴를 번복하고 복귀를 결심했을 때 주위 시선이 곱지만은 않았다.

"해볼 것 다해본 선수가 후배 앞길을 가로막는다" 는 비아냥이 제일 마음에 걸렸다.

그러나 그녀는 묵묵히 과녁과 씨름했다. 나이가 10살 넘게 차이 나는 후배들과 대결하는 것이 부담스러울 때도 있었지만 어차피 양궁은 자신과의 싸움. 할 수 있을 때까지 최선을 다하고 싶었고, 실제로 혼신의 노력을 했다.

시드니 올림픽까지는 이제 39일. 개인전 금메달은 물론 후배들을 이끌고 또다시 단체전 정상에 오르는 것이 목표다.

한편 남자 개인 결승에서는 오교문(인천제철)이 이탈리아의 미켈레 프란질리에게 1점 차이(1백11 - 1백12)로 져 아쉽게 은메달에 머물렀다. 남녀 단체전은 7일 열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