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부터 버스파업 출근길 비상

중앙일보

입력

자동차노조연맹 산하 서울버스지부가 4일 오전 4시부터 전면파업에 돌입키로 선언한 가운데 노사는 3일 오후 진통속에 최종협상을 계속했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가 선거후 버스요금 인상 의사를 밝혀 노사의 극적 타협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밤샘협상에서 협상이 타결되지 못할 경우 4일 오전 출근길 4백80여만명에 달하는 버스 이용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을 전망이다.

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과 노조지부는 3일 오후 송파구 잠실교통회관에서 8차 노사 교섭을 진행했으나 임금인상폭 등 주요 쟁점을 놓고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사측은 경총의 올해 임금 가이드라인 (5.4%)
만큼 인상할수 있다는 수정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그동안 12.6% 인상을 주장해온 노조측은 "두 자리수 이하는 절대 받아들일수 없다" 며 배수진을 쳤다.

서울시는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파업참가 정도에 따라 ▶마을버스 노선 연장▶지하철 증편 운행▶개인택시 부제 해제▶버스전용차로 해제▶공무원 출근시차제 등의 대책을 펴기로 했다.

서울시 차동득 (車東得)
교통관리실장은 "버스요금이 2년 동안 동결된 만큼 버스요금 인상의 타당성에 대한 외부기관의 용역결과가 나오는 데로 법적 절차에 따라 요금을 조정할 방침" 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시는 서민들의 부담을 감안해 인상폭은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노조원 7백여명은 잠실교통회관 앞에서 임금인상 궐기대회와 파업출정식을 갖고 사측을 압박했다.

장세정.김영훈 기자 <zh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