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 남북정상회담 필요 시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원세훈 국가정보원장은 28일 남북 관계 개선 문제와 관련해 “보다 큰 틀의 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남북 정상회담은 물 건너간 것이냐’는 야당 의원들의 질문을 받고 “금강산 사업과 같은 실무적·개별적 수준의 해법으로는 남북관계의 변화가 어렵다”며 이같이 답했다고 정보위 간사인 한나라당 황진하, 민주당 최재성 의원이 전했다. 원 원장의 발언은 남북 정상회담의 필요성을 인식한 것이라고 여야 의원들은 밝혔다.

 비공개로 진행된 국정감사 질의 답변을 브리핑한 황 의원은 ‘원 원장이 남북 정상회담을 하는 것에 공감한다는 거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런 취지다. 하지만 현재 (국정원이) 여러 가지 노력을 하는데 잘 진척이 안 된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민주당 신학용 의원은 “정부가 실무회담으론 새로운 관계를 만들 수 없다고 보고 고위급 회담 같은 것을 하려는 듯한 느낌도 받았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는 “원 원장의 발언은 ‘정상끼리 맺혔던 일을 풀려면 큰 틀에서 풀어야 한다’는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원 원장은 ‘북한의 사이버 공격 동향’에 대해 언급하면서 “최근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준비위원회에 대한 해킹 사례가 있었다”며 “G20회의의 안전한 개최를 위해 이 같은 위해 및 방해 행위에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국정원 보고에 따르면 북한은 인민무력부 정찰총국 산하에 700~800명에 가까운 해커부대를 운영하고 있으며, 북한 각지와 중국에도 수개처의 해킹기지를 두고 있다. 지난해엔 우리 정부 사이트에 대한 북한의 해킹과 디도스(DDos) 공격 외에 한미연합사 및 국회의원, 국회의원 보좌관 PC까지 전방위로 해킹한 사례가 적발됐다고 한다.  

정효식·백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