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실장 “청와대, 무한책임 자세 가져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이명박 대통령이 여름휴가로 청와대를 비운 2일 임태희(사진) 대통령실장이 취임 후 첫 직원 조례를 주재했다. 임 실장은 “청와대는 모든 문제의 마지막 귀착점이자 해결처가 돼야 한다”며 “최종 책임자의 위치에 있다는 것을 결코 잊어선 안 되며, 무한책임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가 ‘무한책임’을 강조한 데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에서 관료주의의 틀을 깨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 실장은 재무부 사무관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엘리트 공무원 출신이다. 관료사회의 부정적 측면을 잘 알고 있는 그는 최근 청와대 내부회의에서 이런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공무원들에게 일을 시키면 ‘검토’에 ‘검토’만 거듭하다 결국 ‘예산과 인력이 더 필요하다’는 결론을 들고 온다. 청와대는 이래선 안 된다. 창의적이고 유연한 발상으로 본인이 일을 책임져야 한다.”

임 실장의 ‘무한책임론’은 이런 생각에서 나왔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설명했다. 임 실장이 ‘자율과 책임’을 강조하면서 청와대의 일하는 방식도 많이 달라졌다. 수석들이 시시콜콜한 문제에 대해서까지 이 대통령에게 직접 물어보고 일을 추진하던 방식에서 탈피해 수석들이 책임 있게 결정하고 추진하 고 있다.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개별수석들의 보고량이 현저하게 줄어든 게 그 예다. 임 실장과 김두우 기획관리실장은 “보고서는 A4용지 2페이지 이내로, 보고 항목은 3개 이내로 줄여 대통령의 부담을 덜어주자. 일상적 안건은 수석들이 자율적으로 결정하자”고 제안했 다고 한다.

임 실장은 직원 조례에서 이 대통령의 ‘친서민’ 기조와 관련해 “경쟁에서 탈락하거나 공정한 기회를 갖지 못한 사람들에 대한 배려가 중요하다”며 “열심히 일하면 보상받을 수 있다는 ‘희망의 사다리’를 그분들에게 놓아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