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버지니아주 한인 주하원의원 탄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42면

3일 치러진 미국 버지니아주 주하원의원 선거에서 한국계 마크 김(43·민주당·사진) 후보가 당선했다. 버지니아주 주하원의원에선 한인이 당선된 것은 처음이다.

그는 “한인으로서도, 미국인으로서도 자랑스럽다”며 “미래를 위해 준비하고 노력하면 미국에선 모든 게 가능하다는 점을 확실히 알게 됐다”고 당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이번 선거 승리에 한인들의 도움이 컸다. 저의 승리를 계기로 주류사회에 속한 백인들이 한인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질 것”이라며 “당을 떠나 열심히 뛰었고, 미 백인들이 그런 모습에 신뢰를 준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에서 태어난 김 당선인은 목사인 부친을 따라 베트남과 호주에서 이민생활을 했고 1978년 미 캘리포니아 주에 정착했다. 어바인 캘리포니아 주립대에서 정치학을 전공한 뒤 로스쿨(UC 헤이스팅스)을 졸업하고 변호사가 됐다. 로스쿨 재학 중엔 빌 클린턴 대선후보의 선거캠프 자원봉사원으로 뛰었다. 이렇게 맺은 민주당과의 인연으로 정무직으로 연방방송위원회와 연방중소기업청 변호사로 일했다. 그 뒤 6년간 민주당 중진 리처드 더빈 상원의원의 보좌관을 지냈다. 지난해 대선 땐 버지니아주에서 버락 오바마 후보의 소수인종 선거전략을 담당했다.

영어는 물론 한국어에도 능통해 미국 주류 사회와 재미 한인사회의 가교 역할을 하는데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창준 전 연방 하원의원은 김 당선인의 승리에 대해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에 인접한 버지니아에서 한국계 주 하원의원이 나왔다는 사실 자체가 한인 사회의 성장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워싱턴=최상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