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저기 "새 공장 짓겠다"중기 공장신축 잇따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IMF체제 이후 줄곧 감소세를 보였던 전국의 건축허가면적이 올들어 공업용을 중심으로 늘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주거용 건축허가면적도 감소폭이 둔화되고 있다. 건축허가면적은 앞으로의 건설경기 동향을 가늠할 수 있는 선행지표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 증가 추세 =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3월 중 전국의 총 건축허가면적은 1백2만6천평으로 지난해 3월 (1백71만3천평)에 비해 29.6% 감소했다. 하지만 이는 지난 2월의 건축허가면적 감소율 50.8%보다 크게 둔화됐다.

특히 공업용 건축허가면적은 12만8천평으로 지난해 3월 (9만4천평)에 비해 36.2%에 이르는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공장신축 등 제조업 분야의 공업용 건축허가면적의 증가세가 두드러져 앞으로의 산업활동에 대한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전체의 39.2%인 47만3천평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남 7만7천평 (6.4%) ▶전북.경북이 각각 7만1천평 (5.8%) 등의 순이다. 서울은 6만9천평으로 강원.전남에 이어 7위를 기록했다.

공업용의 경우 대구 성서공단의 섬유.금속가구 제조업을 비롯, 경기도 이천.광주.양주의 기계.농기구 제조업, 경남 창원.김해의 정밀기계 제조업 등 중소기업의 공장신축 허가가 집중됐다.

반면 대기업은 최근 잇따른 구조조정 여파로 상대적으로 공장신축 허가 등 투자가 거의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원인 및 전망 = 공업용 건축허가면적이 급증한 것은 최근 저금리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데다 중소기업 창업에 대해 정부가 세제 등 각종 지원책을 펼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부동산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택구입 수요가 늘고 있는 점도 주거용 건축 허가면적 감소율을 누그러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건교부 관계자는 "큰 변수가 없는 한 올 하반기까지 건축허가면적 증가추세가 이어질 것" 으로 내다봤다.

이계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