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용품 규제 첫날]홍보 부족.지침없어 곳곳 마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22일 오후 정부 과천청사 맞은 편 뉴코아 백화점. 고객들이 물건을 사자 매장 종업원들은 비닐봉투나 쇼핑백에 제품을 담아준다.

직원 崔모 (27) 씨는 "과천청사가 바로 코앞에 있지만 비닐봉투 등을 유료로 주라는 지침을 받은 적이 없다" 고 말했다.

서울양재동 '하나로마트' , 수원의 제로마트 매장 등의 직원들은 이날 장당 20~50원씩에 비닐봉투를 팔다가 하루종일 "왜 봉투값을 받느냐" 는 고객 항의에 시달려야 했다.

"대신 물건값을 내려야 한다" 는 항의도 있었다.

환경부의 1회용품 규제 첫날인 이날 시내 곳곳의 유통점과 음식점은 1회용품 제공을 둘러싸고 혼란과 마찰을 빚었다.

환경부가 유통.음식점협회와의 간담회도 단 한차례만 갖는 등 사전준비.홍보가 부족했던 때문이다.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裵모 (35) 과장은 "공문을 받지도 못했고 경쟁업체들도 계속 공짜 비닐봉투를 제공하고 있어 당장 제도를 따르기가 어렵다" 고 말했다.

롯데백화점도 비슷한 입장이다.

종이컵.이쑤시개 등의 사용이 금지되는 음식점.유흥주점도 마찬가지. 경기도과천시별양동 K음식점에서는 점심식사를 마친 손님들이 식탁에 놓여 있는 나무이쑤시개 (규정 : 계산대 옆 비치) 를 사용했고, 서울압구정동 A주점은 "손님들에게 커피를 서비스하기 위해선 1회용 컵을 쓸 수밖에 없다" 고 말했다.

평화시장 상인 金모 (55) 씨는 "비닐봉투가 없으면 장사를 할 수 없는데 어쩌란 말이냐" 며 불만을 터뜨렸다.

단속을 맡고 있는 구청도 혼란을 겪고 있다.

은평구청의 한 직원은 "단속인력도 부족하고 적발하더라도 3개월간은 과태료를 물릴 수 없어 난감하다" 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첫날이라 다소 시행착오가 있지만 충분히 홍보한 만큼 문제가 없다" 며 "단속은 지자체 고유 권한" 이라고 해명했다.

김시래.최민우.김준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