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피아화 절상" 인도네시아 배수진…고정환율 도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외환위기가 정국불안으로 이어지고 있는 인도네시아가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고정환율제를 도입키로 결정했다.

마리에 무하마드 인도네시아 재무장관은 11일 “루피아화의 환율을 달러화에 고정하는 고정환율제의 일종인 통화위원회제도를 곧 시행할 것” 이라며 “시행시기와 세부사항은 곧 발표하겠다” 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재무관료들은 이와 관련해 “이 제도가 시행되면 루피아화 가치가 달러당 5천5백루피아 수준으로 안정될 것” 이라고 말해 정부가 루피아화를 달러당 5천~6천루피아 수준에서 고정할 것임을 시사했다.

루피아화가 이 환율로 고정될 경우 현재 달러당 9천~1만루피아 수준에서 맴돌고 있는 루피아화의 가치는 50% 가량 인위적으로 절상된다.

이를 반영해 고정환율제 도입이 전해진 이날 루피아화는 국제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7천5백루피아선까지 하루만에 약 28%나 폭등했다.

◇ 배경 = 인도네시아 정부가 고정환율제를 도입하기로 한 것은 지난해 7월 이후 약 80%나 떨어진 루피아화의 가치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려 고정함으로써 민간기업들의 외채상환 부담을 절반으로 줄이고 외채 지불유예 (모라토리엄) 선언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다.

또 이 조치는 최근 폭등하는 수입물가를 낮춰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한 극약처방이다.

최근 인도네시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폭동사태에 물가폭등에 불만을 품은 계층이 대거 참여해 인도네시아 정부는 어떻게 해서든 물가를 잡아야 할 상황이다.

◇ 전망 = 그러나 전문가들은 인도네시아의 고정환율제 도입에 대해 회의적이다.

전문가들은 현재 홍콩.아르헨티나.불가리아 등에서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인도네시아 경제상황으로 볼 때 이 제도의 도입은 무리라는 지적이다.

이 제도가 성공하려면 충분한 외환보유액과 정치안정이 요구되는데, 현재 인도네시아는 외환보유액이 1백90억달러에 불과하며 오는 3월 대선을 앞두고 각종 시위가 잇따르는 등 정치가 불안하기 때문이다.

김형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