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이만섭 대표서리 체제 과열競選 후유증 최소화가 임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1일 신한국당에 새로 도입된 이만섭(李萬燮)대표서리체제의 가장 큰 임무는 경선관리다.

이 과정에서 조정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으나,결코 쉽지 않은 짐이다.현재의 경선분위기로 미루어 과열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새로 임명된 李대표서리가 격변하는 당내환경과 주자들간의 치열한 대결,불법.탈법시비등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경선후유증의 여부가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행 통합선거법상에서는 비록 여당의 대통령후보라도 선거운동기간전에는 운신이 크게 제약받는다.모든 활동이 사전선거운동의 혐의를 받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당대회에서 결정되는 후보를 새 대표로 임명해 정당활동 차원에서 움직이게 해야 한다는 판단을 내렸다는 것. 이로 인해 李대표서리는 서리의 꼬리도 떼지 못하고 퇴장해야할 운명에 놓일 가능성이 높다.또한 이것이 좋은 모양이 아니라는 문제 지적이 실무차원에서 있었으나 정치적 판단으로 결정이 내려졌다는 것이다.어쨌든 신임 李대표서리는 미묘한 시점에 당운영을 맡게됐다.당내 역학구도에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되고 李전대표와 반이회창진영의 갈등이 앞으로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만일 지역감정 자극이나 흑색.비방.금품살포등의 사태가 벌어진다면 대선에서 상당한 부담을 안게 된다.또한 金대통령이 의중에 둔 후보가 있다면 있는대로,없다면 없는대로 당은 심각한 진통을 겪게 된다.

전자의 경우라면 李대표서리는 金대통령의 지원을 받지 못한 쪽의 강력한 반발과 이로 인한 불복,이탈등의 가능성을 차단해야 하는 어려운 숙제를 안게 된다.

후자일 경우 주자들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李대표서리는 대통령의 지침없이 교통정리를 해야 한다.李대표서리가 과연 이같은 난제들을 어떻게 처리해 나갈 수 있을지 관심거리다. 김교준 기자

<사진설명>

1일 신한국당 대표서리로 지명된 이만섭고문이 의원총회에서 이회창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최정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