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시조백일장>작품수준 하향평준화 분발 기대-심사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투고된 작품들이 대부분 고른 수준을 보인 반면 뛰어난 작품은볼수 없어 장원작을 고르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울산의 전정희씨나 하동의 정동현씨의 작품이 장원 대상이 됐지만 한번 입상의 경험이 있어 이번에는 일단 제외하기로 했다.그런 가운데 다소 낡고 상투적이긴 하지만 대전의 박정숙씨의 작품『휴전선』이 나름대로 고른 정서를 보여주고 있어 장원작으로 뽑았다.그러나 박정숙씨는 좀더 새로운 시상을 가꾸는데 노력해야 될 것 같다.소재와 시어 선택에서 과감한 자기혁신을 기대한다.
차상으로는 정정용씨의 단수 세편을 뽑았다.다소 비유나 상징이떨어지긴 해도 때묻지 않은 시상에 호감이 갔다.
김원씨의 작품은 능숙한 언어의 구사에 비해 이미지나 에스프리가 빈곤했다.그러나 이 분은 정형에 대한 적응력이 남달라 다음작품을 기대해도 좋을 것같다.
이 달의 입선작으로 전도천씨의 『그믐달』과 유종렬씨의 『성묘』를 골랐다.전도천씨는 주제에 대한 접근 방법에 호감이 갔으며,유종렬씨는 좀더 섬세한 감성만 갖는다면 시인으로서의 가능성이보였다. 백승만씨와 전재섭.김혜진씨의 작품은 주제에 대한 집중력이 떨어지는 것이 흠이긴 해도 단수로서의 깔끔함이 돋보였다.
한가지 투고자 여러분에게 당부하고 싶은 것은 시어 선택에 각별한 신경을 써달라는 것이다.가령「님」이라는 말을 자주 쓰 는데「님」이란 말 자체가 현대 시어로서 아직도 존재해도 좋은 것인지 한번쯤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선외이긴 하지만 경북 성주의 변현진씨,부산의 정정자씨,안양의김태희씨 작품이 입선권에서 논의됐다.중앙시조에서 배출한 박권숙.나순옥.강현덕씨등이 이미 중앙시단에서 주목받는 신진시인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빛나는 전통이 계속 이어지길 바라며 여러분의 분발을 기대한다.
〈심사위원=윤금초.유재영〉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