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교육이렇게달라진다>美.英.日의 평가제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미국에서는 초.중등및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평가인정제(Accreditation System)가 오래전부터 실시돼왔다.
1차적으로 학교교육의 철학과 목적이 얼마나 달성되고 있는지를평가하는데 두고 있으며 6개의 지역별 평가기구가 있다.이중 중북부지역을 관할하는 NCA(North Central Association)가 가장 규모가 크며 1895년 민 간주도로 창설됐다. 대학에 대한 평가는 이외에도 학문분야별로 많은 기관에서맡고있다.경영학분야의 AACSB,법학분야의 AALS등 널리 알려진 기관만 18개에 이른다.
유에스 뉴스 앤드 월드리포트紙와 같은 언론에 의한 평가도 10여년째 계속돼 매년 학부와 대학원으로 나뉘어 두차례 일반에 공개된다.
영국은 70년대 후반부터 지방교육당국이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뒤학교가 자체평가를 하도록 한 LEA(Local Education Authority)체계와 교육과정평가,학교.교원 주도의 자체평가등이 이뤄진다.
대학평가는 HEFC(Higher Education Funding Council)와 HEQC(Higher EducationQuality Council)에 의해 이뤄지는데 재정의 85%이상을 국고에 의존함에 따라 HEFC는 60개 영역의 프로그램에 대한 대학별 계획서의 실행여부를 7년주기로 평가,그 결과를재정지원과 연계시킨다.
일본은 대학입시센터를 중심으로 대학 자체에 의한 평가가 실시되고 있으며 아사히(朝日)신문이 지난해부터 매년 대학평가 업무를 수행.공개하고 있다.
〈顯〉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