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리 對北 정책은] 北과 직접 대화 희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존 케리는 '클린턴'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북한을 바라본다. 케리 후보는 최근 시사주간지 타임(2월 9일자)과의 인터뷰에서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북한과 직접 대화를 하지 않고 있는 것은 무모한 것"이라며 비판했다.

그는 지난달 29일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도 "부시 행정부는 북핵회담을 마지못해 하는 인상을 주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클린턴 행정부가 추진했던 '페리 프로세스(대북 포용정책)'를 언급하면서 "대통령에 당선되면 과거 민주당이 추진했던 대화방식으로 되돌려 놓을 것"이라고 밝혀 대북 정책의 변화를 예고했다.

'악의 축'과 6자회담이 부시의 대북 정책을 상징한다면 켈리의 키워드는 포용과 북.미 대화다. 때문에 프랑스 일간 르몽드지는 2일 "김정일이 오는 11월에 백악관 주인이 바뀌길 희망하고 있을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4선 의원인 케리는 또 19년간 미 의회 외교위원회에서 활동해온 베테랑으로 한반도 문제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다. 아직 한국을 방문한 적은 없지만 케리는 상원 동아태소위원회 위원장 자격으로 1998년 6월 김대중 대통령을 만나기도 했다.

그러나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하고 명분에 집착하는 이상론자는 결코 아니다. 그는 지난해 미 상원에서 사담 후세인 제거를 위한 이라크전에 과감히 찬성표를 던졌다. 그는 유세 내내 "후세인이라는 위협 제거에 이론이 있을 수 없다"고 말해 왔다.

최원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