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버스터미널 이전 7년째 표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경기도 포천군 포전읍 중심가에 위치한 포천시외버스터미널이 부지가 협소해 터미널기능을 거의 잃은 데다 시내교통체증마저 가중시키고 있어 지난86년 이전 계획이 마련됐으나 아직까지 이전 후보지 조차 확정하지 못한 채 난항을 겪고있다
이는 경기도가 이전후보지로 선정한 터미널부지에 대해 포전군이 승객증가를 따라가지 못하고 시내교통소통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이유로 반대, 변두리지역에 새 터미널을 건설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용불편=지난 73년 포천군 포천읍 신읍리43 일대 3백14평 부지에 조성된 포천시외버스터미널은 현재 하루평균 4백여회의 직·완행버스가 드나들고 있다. 이용승객은 7천여명.
그러나 주차장은 버스3대가 겨우 정차할 정도로 비좁고 승강장이 갖춰져 있지 않아 승객들은 극심한 혼잡 속에 안전사고 위험에 방치돼있다.
10여평 규모의 매표소 앞 대합실은 항상 코를 찌르는 악취가 나고 10여명이 앉을 수 있는 나무의자가 설치돼 있는게 고작이다.3평 남짓한 재래식화장실도 파리·모기가 들끓는 불결한 모습이다.
이와 함께 터미널과 맞붙은 시가지 중심부를 관통하는 왕복2차선(폭14m)도로를 통해 3∼4분 간격으로 버스가 승강장으로 드나들거나 터미널에 들어가지 못한 차들이 도로변에 정차하는 바람에 이 일대가 온종일 극심한 교통체증을 빚고 있다.
◇이전계획표류=경기도와 포천군은 이용객 불편해소와 중심지 교통완화를 위해 지난86년 도시계획을 재정비, 88년 포천읍 신읍리202일대 1전9백94평을 터미널이전 부지로 결정했었다.
그러나 90년 들어 포천시가지가 확장되면서 나대지였던 터미널이전지가 주거 및 상업지역으로 용도 변경돼 상가가 밀집하게 되고 터미널 이용객 증가율도 예상을 훨씬 웃돌 것으로 보여 개통과 함께 또다시 교통체증이 예상되자 포천군은 같은 해 8월 「포천읍버스터미널 정비추진위원회」를 구성, 터미널 이전지 재선정작업에 착수해 주민공청회를 거쳐 92년1월 43번 국도변인 군내면 하성북리725일대 4천7백73평 부지에 민자 59억7천5백만원을 들여 터미널을 새로 짓는 방안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포천군은 92년6월 경기도에 이 같은 내용의 도시계획용도지역 변경신청을 냈으나 지난 4월 경기도로부터 『신 터미널 이전예정지가 시내 중심가에서 1m쯤 떨어져 있어 승객이용이 불편하고 부대시설의 서비스지원 기능에 대한 계획이 없어 무질서한 도시개발이 예상된다』는 이유로 반려 당해 이전계획 자체가 원점으로 되돌아간 상태.
이에 대해 포천군은 『재선정된 신 터미널 예정지는 당초 이전지역보다 면적이 2배 이상으로 넓고 현재 나대지 상태여서 토지매입비용이 적게 든다』며 『장기적인 도시계획 측면에서도 시가지 동쪽 개발유도에 장점을 갖고 있다』며 재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포천군의 요구가 받아들여진다 해도 도시계획변경결정은 1년 이상 걸리는 데다 완공까지는 1∼2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여 승객들의 불편은 상당기간 계속될 전망이다. <전익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