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들 부정입학 수습진통/고대·성대·동대 긴급 교무회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사과문 등 검토… “이미 사법처리된 일” 불만도
교육부가 전국 62개대학의 부정·부당입학자 및 학부모를 발표해 대학가가 심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각 대학들은 10일 긴급교무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하는 등 수습방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이번 교육부의 발표내용은 이미 과거에 사법처리와 교육부 징계를 받은 사안으로 또다시 해당 교직원 등을 추가 징계하는 것은 일사부재리의 원칙에 위반된다』며 관계당국의 사법처리 또는 징계 움직임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대학의 입시부정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을 감안,사과문 발표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89년 김영식 전문교부장관의 자녀 등 27명을 부정입학시킨 고려대와 성균관대·동국대 등은 10일 긴급교무회의를 열어 수습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고대 한 관계자는 『당시 검찰의 수사로 이준범총장이 해임되는 등 대학관계자들이 적절한 처벌을 받았었다』며 『이들 교직원에 대한 추가 징계는 검토하지 않고 있으며 다만 대국민 담화문발표 등을 검토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91학년도 전기대입시에서 특례입학 등으로 1백3명을 부정입학시킨 사실이 드러나 김용훈총장 등 당시 대학관계자 세명이 구속됐던 성균관대도 이번 교육부의 명단 공개에 따라 대책회의를 갖고 사후대책을 논의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