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위 유지비 과다 … 비즈니스 문화도 문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그래픽 크게보기

"미국이 거래를 중시한다면 한국은 관계를 중시한다."

재미교포인 매튜 장(41) SC제일은행 상무는 한국의 비즈니스 문화를 이렇게 규정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베벌리힐스의 대형 은행에서 근무하다 4년 전 한국에 온 그는 "관계를 중시하는 한국에선 비즈니스 상대와 만나는 일이 미국보다 두세 배 잦다"고 했다. 그는 미국에서 비즈니스 상대를 만날 때 물가가 비싼 편인 베벌리힐스에서 식사 접대를 해도 10만~30만원 정도면 충분하다고 했다. 하지만 한국에선 만남의 종류에 따라 접대비가 2만~200만원으로 달라진다고 했다. 관계를 돈독히 하기 위해 미국엔 없는 '2차 술자리'를 갈 경우 접대비가 크게 뛴다는 것이다. 독일에서 3년 동안 근무한 뒤 한국으로 돌아온 한 국내 자동차업체 관계자도 "유럽엔 가라오케 시설이 거의 없어 2차를 가더라도 좋은 호텔의 바나 레스토랑에서 술 마시고 대화하는 게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외국계 은행의 휴 하웰스 이사는 "한국은 거래처 사람과 만나려면 술을 많이 마시거나 골프를 치러 가야 한다"며 "다른 나라에선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비즈니스 문화"라고 말했다.

한국에서 비즈니스를 하려면 접대 말고도 꼭 챙겨야 할 게 또 있다. 명절 선물과 각종 경조사다. 종업원 100여 명에 연 매출액 100억원 정도인 중소기업의 김모 사장은 "설 등 명절 때마다 선물비용이 4000만~6000만원가량 들어간다"며 "경기도 좋지 않아 줄이고 싶지만 일부 거래처는 노골적으로 선물을 요구해 줄이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거래처 사람의 경조사 때 지출하는 비용도 매달 수백만원꼴이어서 부담이 된다"고 덧붙였다.

조용호 아주대 경영대학원장은 "한국에서 비즈니스를 하려면 호텔에서 사람을 만나고 외제차를 타야 하는 등 체면을 유지하는 데 상당한 돈을 써야 한다"며 "기업들의 이런 '사회적 비용'을 덜어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창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