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 충분조건 되기엔 아직 …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송민순(사진) 외교부 장관은 13일 오후(한국시간) "이번 합의가 남북관계를 진전시키는 데 중요한 요건이 됐다"며 "다만 남북 정상회담을 하기 위한 충분조건이 되는지는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고 말했다.

스페인을 국빈 방문 중인 노무현 대통령을 수행하고 있는 송 장관은 6자회담 합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협상 기간 중 라이스 미 국무장관과 한.미 간 원칙을 긴밀하게 조율해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북한 핵문제는 정상회담 성사에 최대의 걸림돌이었다. 지난해 10월 북핵 실험의 파장이 남아 있는 한 정상회담을 추진하는 건 국민 정서나 국제사회의 분위기상 사실상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이번 6자회담에서 북핵 폐쇄에 합의가 이뤄짐으로써 남북 정상회담 추진을 위한 기본 동력은 갖추게 됐다는 게 정부 일각의 평가다.

다음은 송 장관과의 일문일답 요지.

-대북 쌀 지원이나 비료 지원은 어떻게 되나.

"합의문에 경제.에너지, 인도적 지원 등을 하도록 돼 있다. 대통령께서 합의사항의 신속하고 원만한 이행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라고 한 건 6자회담의 다자적 경로와 남북한 경로에서 우리 할 일을 검토하라는 말씀이다. 통일부가 앞으로 설명할 거다."(※대북 지원 재개를 검토하겠다는 의미)

-한국 정부가 대북 에너지 지원에서 혼자 부담을 지는 건 아니냐.

"균등하고 공평한 부담 원칙에 의해 5개국이 한다는 데 문서로 합의했다. 당장은 4개국이다. 일본은 북.일 관계 정상화 과정에서 참여한다. 우리가 불균형적으로 부담한다는 우려와 추측은 갖지 않아도 된다."

-합의문엔 기존 핵무기를 어떻게 처리할지 언급이 없는데.

"북한의 핵무기와 핵폐기는 9.19 공동성명 1항에 있는데 그 1항을 이번에 상기시켰다. 즉, '북한의 모든 핵무기와 핵계획을 포기하는 틀 내에서 이것이 합의된다'고 합의서에 명기했다."

-노 대통령과 부시 미국 대통령이 전화 통화할 계획이 있나.

"한.미 정상 간 통화는 후속조치 이행을 위한 지속적인 협력의 일환으로 이뤄질 것이다. 베이징 회담이 진행되는 동안 제가 라이스 미 국무장관과 수차례 통화해 한.미 간 원칙을 조율하고, 그 원칙의 틀을 각각 협상 대표에 전달해왔다."

마드리드=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