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시간짜리 미국 당일 투어, 교민들 쌍수 들고 말리는 이유

  • 카드 발행 일시2023.05.19

해외여행 일타강사④ 현지 투어


지난 세 차례 강의에서 개별자유여행(FIT·Free Individual Tour)의 양대 과제 ‘항공권 구입’과 ‘숙소 예약’에 대해 공부했다. 비행기표도 사고 호텔도 구했으니 이제 ‘놀거리’ 과제로 넘어갈 차례다. 여행 가서 뭐하고 놀까? 아무것도 안 할 수 있겠으나 왠지 손해 보는 느낌이다. 솔직히 말해, 널브러지는 것도 하루 이틀이다. 패키지여행은 가이드만 따라다니면 만사가 해결되지만, FIT는 모든 걸 스스로 처리해야 한다. 이 FIT의 요구가 ‘현지 투어’라는 신종 여행법을 낳았다. 현지 투어는 개별자유여행의 마침표이자 당대 여행 업계의 ‘뜨거운 감자’다.

현지 투어란 무엇인가

해외여행은 두 종류다. 패키지여행 아니면 개별자유여행(FIT). 패키지여행은 공항에서 비행기 탈 때부터 돌아올 때까지 여행사가 모든 여정을 책임진다. 그래서 편하다. 대신 자유는 없다. 개별자유여행은 정반대다. 자유가 넘친다. 그 과도한 자유가 자주 부지런함을 요구하고 수시로 피곤을 유발한다.

해외여행하면 패키지여행이었던 시절은 오래전에 갔다. 시방 대세는 누가 뭐래도 개별자유여행이다. 소비자 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2023년 3월 해외여행객 중 62%가 FIT를 선택했다. 패키지여행은 26.9%, 여행사가 항공과 숙소만 묶어서 파는 ‘에어텔’은 11.1%였다. 해외여행객의 62%가 항공권과 숙소를 각자 예약했다는 뜻이고, 에어텔을 포함한 73% 이상이 여행사가 짠 현지 스케줄을 외면했다는 뜻이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FIT 시장이 커지면서 FIT도 진화를 거듭했다. 배낭여행 바람이 불었던 1990년대에는 최대한 많은 나라의 여권 도장을 모으는 게 유행이었다. 그 시절 한국의 청년 배낭여행객은 전 세계를 미아처럼 떠돌았다. 유럽의 어느 공원 벤치에서 새우잠을 자고, 야간열차에 몸을 싣고, 바게트 한 조각으로 끼니를 때웠다. 악착같이 돌아다니는 게 전부인 줄 알았던 시절이다.

지금은 다르다. 현재 개별자유여행에서 제일 중요한 기준은 ‘취향’이다. 가령 프랑스 파리를 가도 에펠탑과 몽마르트르 언덕 같은 기념엽서 명소는 거들떠보지 않는다. 그 복잡한 파리 지하철을 타고 ‘방브 벼룩시장’을 가거나 ‘라탱 지구’ 같은 대학가에 가서 에스프레소를 홀짝인다. 요즘엔 좀 더 과감해졌다. 일정에서 하루를 빼 ‘몽생미셸 수도원’이나 모네가 살던 ‘지베르니 정원’을 다녀오거나, 파리 시내 요리 학원에 나가 크루아상 굽는 법을 배운다.

이 모든 걸, 그러니까 현지에서 놀거리를 수배하고 예약하고 찾아가는 이 모든 번거로운 절차를 FIT는 여행자 스스로 다 해야 한다. 그러다 보니 지친다. 이럴 때 이용하는 게 현지 투어 혹은 가이드 투어다. 서구에서는 ‘투어 & 액티비티(Tour & Activities)’라고 한다. 일타강사는 편의상 ‘현지 투어’라 하겠다. 한국에 있는 여행사가 아니라, 여행지 현장의 업체나 가이드가 진행하는 투어여서다.

The JoongAng Plus 전용 콘텐트입니다.

중앙 플러스 처음이라면, 첫 달 무료!

인사이트를 원한다면 지금 시작해 보세요

지금 무료 체험 시작하기

보유하신 이용권이 있으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