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님, 암 그냥 놔둡시다” 이어령 웰다잉 택한 그날

  • 카드 발행 일시2023.02.17
  • 관심사마음 챙기기

한국의 대표 지성으로 불린 이어령씨가 지난해 2월 세상을 떠났을 때 “이제부터 죽음을 정리하는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고 다짐하던 6년 전 그의 모습이 떠올랐다. 그는 자신의 말대로 그 작업을 끝내고 삶을 마감한 인생의 승자였다.

생로병사라는 자연법칙을 거스를 수 없다는 점에서는 다른 이와 같은 패자였을지 모르지만 웰다잉의 좋은 모델로 남았다는 점에서는 역시 승자였다. 그는 끝까지 존엄을 지켰다. 이어령의 사후 1주기를 맞아 17년 동안 가까이서 지켜보며 기록한 메모를 참고로 그의 인생 종반의 흔적을 두 차례로 나눠 적는다.

2017년 6월의 세 번째 월요일 저녁. 서울 정동 세실레스토랑에 들어섰을 때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이하 존칭 생략)이 먼저 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벌써 도착한 J 박사와 이야기 중이었는데 분위기가 어두웠다. 이어령은 한 달 전 서울 평창동 그의 사무실에서 마주 앉은 내게 이런 부탁을 했다.

속 시원하게 설명해 줄 만한 좋은 의사 없을까요. 내가 암 투병 중이요.

신문사 퇴직 후 이곳저곳에서 웰다잉 강의를 하러 다니던 중 나는 그가 앓고 있다는 소문을 전해 들은 적이 있다. 그때 그와 J 박사와의 만남을 다시 주선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굳혔다. 이어령은 딸 이민아 목사가 몹시 아팠을 때인 2011년 7월에도 저녁 식사에 나를 초대했다. 그때나 지금이나 이어령은 암 치료를 둘러싼 궁금증을 풀어 줄 의사의 조언을 간절히 희망했다.

현역 기자 시절 여러 문화행사에서 어쩌다 한 번씩 그와 대면할 기회가 있었다. 하지만 그와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눌 틈은 없었다. 자주 마주하게 된 것은 중앙일보 편집국장으로 재직한 지 1년여가 지난 2001년 초부터였다. 그가 중앙일보 고문으로 영입되면서 하루에도 몇 차례씩 얼굴을 보게 되었다.

The JoongAng Plus 전용 콘텐트입니다.

중앙 플러스 처음이라면, 첫 달 무료!

인사이트를 원한다면 지금 시작해 보세요

지금 무료 체험 시작하기

보유하신 이용권이 있으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