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화중 복지장관 정부결정에 제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김화중(金花中)보건복지부 장관이 노무현(盧武鉉)대통령이 주재한 회의에서 합의된 정책을 부정하고 나서 물의를 빚고 있다.

金장관은 21일 기자회견을 열어 "인천 경제특구 내에 들어설 병원에 내국인 진료를 허용하려면 공공의료를 확충해 계층이나 지역 간 의료 이용의 불평등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전제에 따라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관계장관 회의에서 (경제부처가) 공공의료 예산을 안 주고 담배 부담금을 올려 주지 않으면 내국인 진료는 안 된다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고 설명했다. 사실상 담배 부담금 인상이나 예산 증액을 내국인 진료 문제와 연계하겠다는 뜻이다.

복지부는 현재 전체 의료의 10%선인 공공부문 투자액을 30%로 올리기 위해 1단계로 내년 예산 3천억원을 요청했으나 대부분 삭감되고 6백여억원만 확보했다. 또 담뱃값을 1천원씩 올리려 하나 재정경제부의 반대에 부닥쳐 있다.

현행 경제특구법은 특구 내 외국 병원이 외국인만을 진료하도록 돼 있으나 이럴 경우 환자가 너무 적어 미국의 존스홉킨스 등 유명 병원이 입주를 꺼리자 재경부는 내국인 진료를 허용하도록 추진해 왔다.

金장관도 지난 8월 "허용을 검토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재경부 경제자유구역기획단 오갑원 단장은 "지난 15일 대통령 주재의 국정과제 토론회의에서 외국 병원 유치 상황을 보면서 내국인 진료를 허용하기로 합의한 것"이라면서 "의료 개혁도 중요하지만 외국인 투자가 들어와야 경제가 살아난다는 큰 틀에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신성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