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세계최초 80나노 1기가 D램 양산

중앙일보

입력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80나노(1나노는 10억분의 1m,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공정을 적용한 1기가 DDR2 D램을 본격 양산한다고 29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 2004년 90나노 1기가 D램을 시작으로 올 3월부터는 80나노 512메가 D램을 양산하는 등 세계 반도체 업계의 기술리더 역할을 공고히 해 왔다.

이번에 양산을 시작하는 80나노 1기가 D램은 기존 90나노 제품의 절반 크기(11mm×11.5mm) 인 세계 최소형 1기가 D램 제품이다. 특히 1기가 D램에 80나노 공정을 적용하면 90나노 공정 대비 생산성이 50% 정도 향상돼 원가 경쟁력을 대폭 강화할 수 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1기가 D램은 현재 양산되고 있는 D램 중 최대 용량의 제품으로 주로 차세대 서버용 4기가바이트 모듈(FBDIMM)과 노트북용 2기가바이트 모듈 (SODIMM) 등 대용량 메모리 모듈 제작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90나노 1기가 D램으로 4기가바이트 메모리모듈과 같은 대용량 모듈을 만들기 위한 공정은 비교적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D램 단품 2개를 쌓아올려 모듈에 탑재해야 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신제품은 칩 적층과 같이 복잡한 구조 대신 모듈 위에 단순히 2열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조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80나노급 제품으로는 업계에서 유일하게 80나노 512메가 DDR2 단품 및 모듈에 대해 인텔 인증을 획득하는 등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1기가 D램에 업계 최초로 80나노 공정 적용을 시작함으로써 대용량 D램 시장 주도권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갈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시장조사기관 데이터퀘스트에 따르면 세계 D램 시장규모는 올해 287 억 달러에서 2008년 378억 달러로 연평균 14%의 성장이 예상된다.1기가 D램이 차지하는 비중도 올해 8% 수준에서 2008년에는 36%로 높아지면서 D램 시장의 주력제품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머니투데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