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어닝쇼크’…농심·삼양 영업익 반토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특수를 누렸던 라면업계가 올해 1분기엔 상대적으로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농심과 삼양식품 등의 영업이익은 사실상 반 토막이 났다. 코로나 특수가 주춤하면서 수요는 줄고 원재료 가격과 해상운임 급등 등 제반 비용은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코로나 특수 줄고 원재료값 올라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농심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연결기준)은 전년 동기보다 55.5% 줄어든 293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7.7% 줄어든 6344억원이다. 이 가운데 라면 등 면류 매출이 3000억원으로 15.4% 줄었다. 스낵 매출은 6.6% 감소한 853억원이다.

삼양식품 역시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143억원으로 46.2% 감소했다. 국내 매출은 606억원으로 23.3% 줄었지만, 해외 매출이 2.6% 늘면서(793억원) 전체 매출은 10.5% 감소한 4611억원으로 집계됐다. 오뚜기의 경우 매출은 3.84% 늘었지만(6712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26% 줄어든 502억원을 기록했다.

라면업계의 영업이익이 악화한 건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누렸던 특수 효과가 가라앉은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농심은 지난해 1분기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하면서 라면과 스낵 수요가 폭등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01% 늘었고, 매출도 17% 늘어난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 해상운임이 크게 늘면서 수출 물류비용이 커지고 광고 판촉비나 인건비 등 비용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세계적인 곡물 가격 인상으로 밀 등 원재료 비용이 늘어난 탓도 크다.

추인영 기자 chu.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