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남북 장관급회담 열리는데 하루 전까지 북 참석 확인 못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통일부 관계자는 "회담 첫날 전체회의 기조연설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문제를 강도 높게 비판하되 수석대표 접촉 등을 통해 6자회담 복귀를 설득한다는 복안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북한의 회담 참석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관측에 대해선 "10일 오후 남북연락관 간의 직통전화에서도 북측이 회담 불참을 언급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 북측, 참석 여부 막판 저울질=정부는 북측이 예정대로 회담에 참가하는 쪽에 더 무게를 싣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북측이 회담장에 나오지 않을 경우 미사일 등과 관련해 정면승부를 피하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그동안 '미사일 발사는 자주권'이라고 주장해 왔다. 그래서 회담 테이블에 앉아 자신들의 입장을 설명할 가능성이 크다. 회담 관계자는 "북한이 막판까지 회담 참석 문제를 고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각에선 미사일과 6자회담 복귀 문제로 코너에 몰릴 게 뻔한 상황에서 북한이 굳이 회담장에 나타날 것인지 회의론을 펼친다.

미사일 문제를 집중 협의하는 자리로 만들겠다고 공언한 우리 정부도 나름대로 부담을 느끼는 모습이다. 북측이 자신들의 정치 공세만 늘어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명숙 총리는 북한대표단을 위해 관례로 총리가 베풀어온 환영만찬을 취소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회담 하루 전까지도 북측 대표단의 참석 여부를 확언하지 못하는 불투명한 상황 관리를 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 차질 빚는 남북교류=8.15 축전과 아리랑 공연 관람을 협의하기 위해 11일 금강산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남북 실무협의가 연기됐다. 대북 지원단체인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방북단의 평양 방문 계획(11~14일)도 미뤄졌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