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는 사기’라던 JP모건, 자체 코인 개발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623호 13면

세계 최대 투자은행인 JP모건이 암호화폐를 내놓았다. 한때“암호화폐는 사기”라고 했던 제이미 다이몬이 최고경영자(CEO)로 있는 곳이다. JP모건은 14일(현지시간) 홈페이지 알림을 통해 “자체 암호화폐 ‘JPM Coin(코인)’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CEO가 비트코인 등을 거품이라고 비판했지만 이면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제도권 금융 시스템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온 셈이다.

기업 고객들간 결제 일부 처리 #해외 송금 시간 등 단축될 듯

JP모건 홈페이지의 ‘자주 묻는 질문’에 따르면 JPM코인은 쿠오럼(Quorum)을 바탕으로 한다. 쿠오럼은 비트코인과는 다른 암호화폐인 이더리움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 내부나 기업과 고객 사이 거래에 맞게 개발됐다. JPM코인은 퍼블릭 블록체인을 통해 발행되고 누구나 사고 팔 수 있는 비트코인 등 일반 암호화폐와 다를 수밖에 없다. JP모건에 따르면 JPM코인은 승인 받은 이만 참여할 수 있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발행되고 거래된다. “누구나 소유하고 거래할 수 있는 코인이 아니기 때문에 보안이 한결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경제매체인 CNBC는 “JPM 코인이 우선 JP모건의 기업 고객들끼리 오가는 실시간 결제를 일부 맡아 처리할 것”이라고 이날 전했다. JP모건의 기업 고객 간에 이뤄지는 뭉칫돈 결제의 전체 규모는 하루에 6조 달러(6800조 원) 규모에 이른다. 기업들 사이의 송금과 청산결제 등에 JPM 코인을 이용하면 송금·결제 시간을 몇 초로 줄일 수 있다는 게 JP모건 쪽 설명이다. 현재 기업이나 개인이 해외로 송금하면 며칠씩 걸리기 일쑤다. JPM코인은 기업이 증권을 발행하고 판매할 때 즉시 결제하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또 기업은 JPM코인을 갖고 있다는 사실 만으로 지불능력이 검증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JP모건은 “기업이 JPM코인을 활용하면 결제 등을 위해 많은 현금을 은행계좌에 넣어둘 필요가 없어 현금 자산을 좀 더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고 자랑했다.

다만, 현재 시중은행을 통해 이뤄지는 모든 달러자금 거래는 자동적으로 뉴욕연방준비은행의 실시간 감시망에 포착된다. 돈세탁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이다. 기업이 JPM코인을 통해 자금을 이동하면 달러로 현금 정산될 때까지 상당 기간 포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강남규 기자 disma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