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돈 내고 읽는’ 美 청년 크게 증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일간지가 꽂혀 있는 미국의 신문 가판대. [중앙포토]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일간지가 꽂혀 있는 미국의 신문 가판대. [중앙포토]

미국 밀레니얼 세대(1980~2000년 초반 출생)의 온오프라인 신문·잡지 구독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용 증가로 ‘정보는 공짜’란 인식이 바뀐 점, 그리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반감이 주요 요인이란 분석이다.

미국 폴리티코 분석, “신규 구독자 최대 130% 증가” #NYT, WP도 밀레니얼 세대 구독 크게 늘어 #“유료 정보 구독 인식 변화, 트럼프 반감이 주 요인”

21일(현지시간)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에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된 이후 주간지 뉴요커의 밀레니얼 세대 신규 구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2배 증가했다. 특히, 18~34세 신규 구독자는 106%, 25~34세 신규 구독자는 129% 늘었다.

월간지 애틀랜틱(Atlantic) 역시 대선 이후 18~24세 신규 구독자(종이판 및 디지털판 유료 구독자)가 전년 동기 대비 130% 증가했다. 18~44세로 연령 구간을 넓혔을 경우 신규 구독자는 70% 늘었다고 폴리티코는 전했다.

또 주요 일간지인 워싱턴포스트(WP)·뉴욕타임스(NYT)는 구체적인 신규 구독자 증가치를 밝히진 않았지만, 밀레니얼 세대의 구독 증가율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거나(워싱턴포스트), 이 세대 구독자의 온라인 트래픽이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했다(뉴욕타임스)고 각각 밝혔다고 폴리티코는 전했다.

밀레니얼 세대의 경제지 구독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대학생 구독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해 학생 구독자가 2배로 늘었다”고 밝혔고,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 역시 “18~24세, 25~34세 연령대의 신규 구독자들이 구독 증가의 원동력(key driver)”이라고 했다.

폴리티코는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익숙한 밀레니얼 세대가 ‘올드 미디어’로 발길을 돌리는 점과 관련해 두 가지 분석을 내놨다.

넷플릭스가 자체 제작한 드라마 하우스 오브 더 카드 이미지.

넷플릭스가 자체 제작한 드라마 하우스 오브 더 카드 이미지.

첫째, 넷플릭스, 훌루 등 온라인 유료 영상·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활발히 이용하는 젊은 층 사이에서 ‘정보가 공짜’라는 인식이 조금씩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둘째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반감이다. 로이터 저널리즘 연구소가 발간하는 ‘로이터 디지털 뉴스 리포트’ 저자인 닉 뉴먼은 “트럼프에 반감을 가진 젊은 층이 (그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시하고자) 트럼프에 대한 방벽(bulwark)으로 여겨지는 신문을 구독하고 나서는 것”이라고 폴리티코에 밝혔다.

조진형 기자 enis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