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리포트] “청소년들에게 게임은 공기” 무조건 못하게 하면 갈등만…게임 시간 통제하게 도와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기사 이미지

“게임이 주는 순기능과 역기능을 객관적으로 알려주는 대화가 필요합니다. 게임을 줄이는 대안이 무조건 ‘공부하라’여서는 안 됩니다. 자녀들의 바람을 들으며 협의하고 대안을 제시해야죠.”

홍성관 한국IT전문학교 게임스쿨학부(게임심리학) 교수는 청소년들의 일상적인 게임 문화에 대해 “게임은 즐거운 놀이이자 욕구 실현의 공간이며 친구들과 만나는 소중한 공간”이라며 “부모가 게임을 문제의 근원으로만 보게 되면 갈등만 낳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오미영 가천대 언론영상광고학과 교수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 익숙한 어른들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어려서부터 온라인이 익숙한 세대가 주어진 환경에 맞춘 방식으로 소통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성윤숙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청소년들에게 게임은 공기와 같다고 할 정도로 일상적이지만 대부분 게임 시간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지적했다. 홍 교수 역시 “청소년들이 스스로 ‘충분히 통제하고 있다’고 합리화하기보다 게임에 따라 정신적·심리적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의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